교수들 모아놓고 자문 구하는게 맞나?
1년에 한 번 열리는 시정자문교수단 전체회의, 그것도 중요현안 3∼4건에 대해 자문을 구하는 자리에 교수들은 자리에 앉고 나서야 어떤 자문인지를 알게 됐다. 어쩌면 자문교수 전체를 모욕하는 행위다.
이같은 느낌을 받았는지 성무용 시장이 시정자문을 구하자 한 교수가 따끔하게 일침을 놓았다. 그는 학생들 모임도 먼저 회의 안건을 주고 모이는데 하물며 시에서 수십명의 교수에게 최대 현안 문제를 던져놓고 ‘즉답’을 원하는 건 잘못된 일임을 지적한 것.
그나마 기본마인드를 갖고 있는 교수들이기에 다양한 자문이 이뤄질 수 있었다는 것은 다행한 일이었다.
이날의 아쉬움은 하나의 사례일 뿐, 시 행태가 대부분 이런 식이라는데 있다.
시의회는 시정질문이나 행정사무 감사의 경우 시 답변자료가 제 때 오는 법이 없다고 누차 지적했으나 고쳐지지 않고 있다. 의원들은 자신의 질문이나 감사에 대한 시 답변이 늦어도 일주일 전에는 받아봐야 한다고 말한다. 그래야 현장확인과 사실여부 등 깊이있는 조사를 통해 시정질문이나 감사에 임할 수 있다는 얘기다.
겨우 하루 이틀 전에야 받아보는 답변자료 때문에 의원들은 회의장에서 엉뚱한 질문이나 초점을 비껴가는, 능률없는 시간을 보내야 하는 현실이다. ‘웬 헛소리냐’는 공무원의 질책은 결국 원인도 시 행정에 있다는 사실을 간과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회의 의도를 제대로 파악한다면 그 준비가 어떠해야 하는지, 진정으로 시민과 시 발전을 위한 역할이 무엇인지 생각해볼 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