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브리핑실 논란 ‘해결책은 누구에게?’

기자들간의 다툼·시행정의 방관… 폐단 없는 공동규정안 마련 시급

등록일 2014년12월01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뺀다?

‘천안 브리핑실’이 문제다. 실제는 브리핑실에 얹혀있는 ‘기자석’이 문제다. 상주기자들의 폐해를 문제삼는 일부 언론사들이 소송을 진행하고 있고, 다양한 방향에서 실제로 존재하는 기자실 폐쇄와 온전한 브리핑실 운영을 촉구하고 있다.

언론환경 바뀌었다?

시에 따르면 브리핑실에 상주하는 언론사는 12개사 19명에 이른다. 문화동 청사때는 버젓이 ‘기자실’의 이름을 달고 있었다. 그러다 관이 기자실을 무료제공하는 것은 잘못된 관행이자 구태로 보는 시각이 팽배해지면서 2000년대 초부터 새로운 바람이 불었다. 여기에는 기자실 내의 여러 갈등문제가 불거져 사회문제로 대두된 것도 한 몫 했다. 천안시는 2005년 불당동 청사시대를 개막하면서 ‘기자실’을 없애기로 했다. 하지만 기자실의 편의를 제공받아왔던 기자들과 관이 밀접한 유대관계를 끊지 못한 채 브리핑실의 곁가지로 기자실의 생명을 유지시켰다. 당시 일부 언론사들이 ‘상주기자 없는 브리핑실의 온전한 형태’를 주문하며 시에 정식으로 공문을 접수하기도 했다. 시는 ‘몇몇 자리를 마련하는 편의를 제공하되 기자 개인의 사유화는 못하도록 하겠다’는 입장을 내놓으며 브리핑실에 기자실이 기생할 수 있는 빌미를 제공했다. 이후 브리핑실은 제 기능을 못하고, 대신 상주기자들의 기자실화 돼버렸다.

이제 천안시청에 등록된 언론사는 100여개에 이른다. 10년 전만 해도 10여개의 오프라인 신문사가 주를 이뤘다면, 이후 온라인신문이 등장하면서 언론사들의 춘추전국시대가 도래한 것이다. 이런 변화된 언론환경은 새로운 체계를 필요로 하고 있다. 브리핑실에 상주한 일부 언론사들의 정보독점, 관언유착, 불편한 브리핑실 운영체계 등은 여러 잡음을 내며 사회적 파장을 생산해내고 있다.

자정없는 언론갈등 ‘새변화 모색해야’

이같은 문제해결을 위해 의원들은 시가 브리핑실 운영에 대한 기준(규정)을 만들어야 한다는데 공감하고 있다. 주먹구구식으로 운영해온 잘못된 관행이 분명 존재한다는 점을 인정하고, 이제부터라도 건전한 운영방식을 도입해야 한다는 것이다.

이종담 의원은 행감장에서 ‘주먹구구식 운영’이라고 표현했다. 시는 불편한 기색을 보이며 “시가 주도하기보다 기자들이 자체적인 기준을 마련했으면 좋겠다”며 난감해했다.

올해 광고홍보액 6000만원이 어떤 지급기준으로 언론사에 나갔는가를 묻자, “예전 기준이라든가 발행부수, 인지도 등에 따라 홍보액을 가름했다”고 밝혔다. 이종담 의원은 “떡값 주듯 하는 게 문제있어 보인다”며 나눠주기식 보다는 광고주제에 맞게 홍보해야 하지 않겠는가 지적했다. 이 의원은 “홍보기획과 그에 맞는 적당한 언론은 어디인지를 파악해야 하는 등 연간홍보비에 대한 집행계획이 있어야 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평가기준 시스템을 만들 의향이 있느냐고 묻자, 조한수 공보관은 “상당히 민감한 부분이다. 그런 기준안을 만들은 지자체들도 있지만 제대로 운영되는 곳은 거의 없다”며 명쾌한 기준이 있기를 바라지만 심도있게 논의해봐야 할 사안임을 밝혔다.

총무환경위원회 전종한 위원장은 “브리핑실 상주기자들 행태가 명확한 논리적 기반이 있어야 하는 게 맞다”며 “여러 문제점이 있는데도 방치하는 듯한 태도는 의지가 박약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자율적으로 해결되면 좋겠지만 구조적으로 안되는 환경이면 주체적 해결의지를 가져달라고 주문했다. 조 과장은 “차라리 법제화가 된다면 좋겠다”며 고민을 밝혔다.

전 위원장은 “브리핑실 운영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하는데 그 횟수를 보면 올해 7번의 브리핑밖에 없다”며 브리핑실의 존재가치가 희박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그는 시장과 부시장도 월례브리핑하고 실과에서도 스킨십 하는 게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조 과장은 “좋은 말씀이며, 내년도에는 브리핑실 운영을 좀 더 활발히 해가는 것으로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전병욱 부시장은 “기자실이라 말하는 건 어패가 있다. 브리핑실이라 말하는 것이 맞다”며 “시민이 브리핑을 언제나 이용할 수 있는 시민편의, 그리고 어느 기자라도 브리핑실을 이용할 수 있는 취재편의, 이 두가지를 해치지 않는다면 사용자 자율에 맡기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를 밝히기도 했지만 전종한 위원장은 “그건 대전제의 원칙일 뿐”이라며 다시한번 현 브리핑실 문제를 주체적으로 해결할 것을 촉구했다.

이미 부시장이 말한 두가지건은 시민단체 등이 자유롭게 브리핑하는데 종종 다툼이 있었으며, 취재편의 또한 상주기자의 행태로 왜곡된 불편이 발생하고 있음을 간과한 말이다.

<김학수 기자>

김학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