격에 맞지 않거나 아니꼬운 언행이나 상태를 놀림조로 이르는 말을 '가관(可觀)'이라 한다.
천안시역사문화연구실의 김성열 실장은 "공주대 교명재창출추진위원회 행태가 그와 같다"고 했다.
공주대 교명재창출추진위원회가 구성될때 김 실장은 천안지역사회 대표로 추진위원이 되었지만 그에게는 '감시자'의 역할이 맡겨졌을 뿐이다. 천안이 주장한 건 '교명재창출'이 아닌 '제3교명'이었기 때문이다.
2005년 천안공업대학과 통합당시 공주대학교가 제3교명을 약속했었기에 가능했다는 것을 공주대 스스로 잘 알고있는 바다. 그러나 이를 어기고 차일피일 미루다 거센 반발에 마지못해 교명을 재창출하겠다고 선언한 것이다. 교명변경이 아닌 재창출 용어를 쓴 것은 기존교명인 '공주대학교'를 그대로 사용할 수도 있도록 한 꼼수였다.
이에 천안지역사회 대표를 자처한 천안발전회의 교명변경추진위가 지난 8월5일 기자회견을 열고 이같은 추진행태를 강력 비난했다. 주된 내용은 '기만적인 행태를 즉각 중단하고 당초 약속대로 제3의 교명으로 변경할 것'을 촉구하는 것이었다.
회의가 있는 날, 김 실장은 어김없이 공주대학교 회의석상을 찾았다. 입은 ‘근질근질’했지만 주어진 발언권을 사용하지 않고 묵묵히 참았다. 말을 하는 순간 관여가 되어 재창출추진에 동조하는 처지로 인정받기 때문이었다.
관찰자로 회의에 참석한 그의 눈에 비친 건 '참으로 어처구니 없는' 행태들이었다. 학자적 양심이 그렇게도 없는가? 어떤 교명이 대의인지를 분별하고자 하는 마음은 애초부터 없었다. 그저 각자에게 '득'이 되는 쪽으로 방향을 정하고 몰아세우기 바빴다. 대학교의 주인이 과연 누구인가에 대한 물음에도 직장개념을 안고있는 교수집단이지 않을까 했고, 교수라는 사람이 학생대표 신분이 어떠함을 망각한 채 그저 사제간의 고하를 내세워 으름장을 내기도 했다. 불합리와 비양심이 혼재된 회의석상에 이맛살을 찌푸린게 몇 번인지 기억도 안났다.
이제 '공주대'와 '한국대'를 놓고 투표한 결과가 4일 발표됐고, 그의 감시역할도 사라졌다. 어찌됐든 그들의 회의와 행태를 눈으로 확인해야 할 천안사람이 필요했던 만큼, 그 역할은 끝이 났다. 참석하지 말아야 할 자리에, 어쩔 수 없이 참석해야만 하는 달갑지 않은 마음을 누가 알아줄까.
<김학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