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예술교육정책은 2004년향유자 중심의 예술활동을 강화하고자 했던 참여정부의 새예술정책을 기반으로 출발했다. 이명박 정부에서는 괄목할만한 양적성장과 함께 문화예술교육사 자격제도를 도입해 매개자 양성시스템을 대학과 연동, 전국 규모로 확장하는 등 제도적인 재정비를 이뤘다. 이제 문화예술교육정책 10년을 앞두고 또다시 현재를 진단하고 앞으로의 전략을 고민해야 할 시기에 직면했다. 그 고민의 출발점은 ‘지역의 내생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라는 화두로부터 출발하면 어떨까.
중앙의 지역대상정책사업만으로는 부족
12일 천안 휴러클리조트에서 열린 제4회 충남문화예술교육포럼에서 정연희 한국문화예술교육진흥원 교육진흥본부장은 지역 내생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에 대해 기조발제했다.
그에 따르면 지금까지의 문화예술교육정책은 중앙정부 차원에서 수립된 정책이 시·도 광역단위까지 아울렀다. 분명 중앙의 지역대상 정책사업만으로는 한계가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중앙의 정책적 접근과 지역의 자생적 노력이 병행돼야 한다는데 있다.
정 본부장은 “다가올 10년은 지역센터가 그 중심역할을 해야 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지역센터에서의 ‘지역’은 중앙에 대칭하는 개념이기보다 ‘삶의 현장’에 초점을 두고 이해해야 한다. 지역이 중앙의 처방을 기다리기보다 주체적으로 자율적으로 지역 내생적 문화예술교육 활성화의 거점이 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일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자체, 지역교육청 등으로부터 구체적인 지원을 얻어내는 일도 지역의 수요와 지지를 기반으로 지역센터가 당당히 앞장서야 할 일이다.
정 본부장은 교육시스템의 근본적인 변화와 인식의 변화가 과제로 남아있다고 밝혔다.
한국의 교육은 미래에 대한 전망과 전략으로 접근되지 못하고 교육현안의 타계를 위한 임시방편적인 접근이 범람하는 가운데 있다. 이런 상황에서 문화예술교육 또한 교육의 근본적 가치의 실현보다는 처방적 교육으로서 교육현장을 설득하는 차선책을 취해야만 했다. 이것은 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을 불가능하게 만들었다.
그렇다면 앞으로 중앙이 해결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정 본부장은 “총체적 난국의 근대적 교육을 시스템부터 변화시키는 것이 필요하다”고 주문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문화부처나 교육부처 단독으로는 어렵고, 범정부 차원의 교육개혁 의지가 바탕이 돼야 한다. 그리고 삶 속에서 문화예술교육의 자생력을 회복시키는 방향으로 모든 문화예술교육정책의 실행전략들이 전환돼야 한다.
정 본부장은 “처방적 교육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을 강조하고 단기적성과를 내는 것에 앞서 문화예술교육의 근본적인 가치를 강조하고 실천해 나감으로써 문화예술교육의 지속가능한 발전에 한걸음 다가가도록 힘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학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