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용수확보, 무엇을 어떻게 대비해야 할까.’
2020년 인구 100만 시대를 대비해 천안시는 용수확보가 가능한가. 수원 다변화를 계획하고 있는 천안시는 기존저수지 활용, (지하)댐 건설, 대청댐 광역상수도 3단계개발용수 활용 등의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다.
천안시는 4월28일 시청 상황실에서 ‘자체수원확보 및 다변화 타당성조사용역 1차중간보고회’를 개최했다.
용역을 맡은 (주)도화엔지니어링은 ‘2025년’ 인구 100만명에, 하루 42만5000톤의 생활·공업용수가 필요할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는 박한규 부시장에 의해 정정됐다. “천안시 1목표인구 100만명은 2020년으로, 최종용역보고서에는 정비돼야 한다”는 설명이다.
자체수원확보를 위해서는 4대강 사업으로 둑높이기 사업을 추진하고 있는 용연저수지 등 기존에 운영중인 저수지 활용방안을 비롯해 용수전용댐 건설, 강변여과수 개발, 지하댐 건설 등을 제시했다. 또 자체수원 다변화를 위해 중수도 및 하수처리재이용수를 공업용수·농업용수·하천유지용수·청소용수·조경용수 등으로 활용하는 것과 빗물이용시설 설치, 취수체계 개선 등을 통해 용수확보율을 높일 것을 제안했다.
관내 주요하천은 광덕면에서 풍세면으로 흐르는 광덕하천과 북면에서 병천면으로 흐르는 병천하천. 이들 주요지점을 놓고 용역기관은 5개의 댐 건설이 가능하다고 밝혔다. 5곳에서 확보할 수 있는 용수는 22만톤. 하지만 일단 타당성이 높은 곳은 ‘한 곳’으로 내다봤다. 문제는 댐 건설비 부담으로, 현재 먹는 물이 1원이면 댐용수는 5원 정도로 비싸게 먹어야 한다는 것도 고려돼야 할 사안.
댐을 고려한다면 땅속으로 흐르는 지하수를 막아 수위를 높여 취수하는 방식의 ‘지하댐’이 긍정적으로 검토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지상)댐 건설에 대한 부정적 민원도 없다는 점은 강점이다.
2단계 대청댐 광역상수도 의존도가 높은 용수공급체계 개선을 위해 용역기관은 수자원공사가 계획하고 있는 대청댐 광역상수도 3단계 개발용수를 확보하고, 수도권 광역상수도 및 대전광역시 잉여용수를 확보하는 방안을 제시했다.
강변여과수 개발과 관련해서는 갈수기에도 하천유량을 만족할 만한 유수량이 풍부하지 못하다고 판단, 개발가능성은 ‘굉장히’ 적다고 밝혔다.
하수처리수를 지역 기업체(공장)에 공급하는 것도 좋은 방안으로 제시됐다. 시내권은 천안하수처리장에서 공급하고, 북부지역은 성환처리장, 동부권은 병천처리장에서 공급하는 방식. 이를 통해 공업용수 8만8000톤을 절약할 수 있고, 이를 생활용수로 바꿔 수급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하지만 이를 위한 시설로는 천안하수처리장이 670억원, 병천이 153억원, 성환이 220억원 정도의 예산부담을 수반해야 한다.
대전광역시와 수도권 광역상수도의 잉여용수를 끌어대는 방안도 검토중이다. 현재 대전시 잉여용수량은 28만톤으로 이중 세종시가 12만톤을 사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나머지 16만톤을 천안시가 사용할 수 있다는 얘기인데, 문제는 48㎞를 끌어오기 위해 2000억원의 시설비가 들어간다는 점이다. 국비사업으로 이뤄지지 않고는 어렵다는 것이 맹점. 수도권상수도는 8만1000톤 정도가 잉여용수로, 용역기관은 좀더 구체적으로 검토해서 오는 10월 최종보고회때 가능성을 밝히겠다고 말했다.
시 수도사업소는 오는 11월까지 용역을 완료하고 우리지역에 맞는 대체용수 확보방안을 도출해 100만이 살아도 넉넉한 용수공급계획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천안시 하루 생활용수 생산량(급수량)은 17만2000톤으로, 이 가운데 15만톤이 대청댐 광역상수도에서 용수를 공급받고 있으며 용곡·병천정수장에서는 12.8%인 2만2000톤을 생산하는데 그치고 있다.
<김학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