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이달말까지 천안문화원건물 “돌려줘”

시행정, 문화원파행 3년 해결책 없자 건물 환수조치 결정

등록일 2009년08월18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천안문화원이 파행 3년만에 종지부를 찍을 예정이다.

그동안 인내심을 갖고 지켜봐온 천안시가 오는 31일(월)까지 시 소유의 문화원 건물을 환수하겠다고 통보했다. 시는 지난 1992년부터 현재 문화원건물 2091㎡와 토지 655㎡를 무상임대해주고 있다.

시의 환수의지와 관련해 문화원측 관계자도 “지난 10일(월) 사용재산 환수예고통지를 받았다”고 했다. 결국 법원에서 2명의 원장 직무대행자를 세웠지만 소득 없이 시간만 낭비한 꼴이 됐다. 시는 문화원이 이달 말로 통보한 재산명도 최종시한을 지키지 않을 경우 행정대집행에 들어가겠다고 밝혔다.

시행정이 문화원건물을 회수하면서 자체적으로 일정규모를 필요로 하는 건물 임대능력이 없는 천안문화원측은 길바닥에 나앉을 형편. 시는 ‘천안문화원’이란 법인을 포기해서라도 지루한 파행을 일단락 짓겠다는 의지를 내비쳤다.

이에 앞서 임기기한(8월18일까지)이 다 된 반인충 원장 직무대행이 최근 마지막수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했지만 소리만 요란한 채 유야무야 됐다. 지난 4월부터 지역사회를 대표하는 16개 기관·단체 대표에 공문을 발송한 결과 시청, 시의회, 경찰서, 언론대표가 빠진 12개 기관·단체에서 비대위 위원을 보냈다. 그러나 기대했던 지난 7월 첫 회의에서는 비대위 성격 등을 규정짓는 기본 의견조율마저 실패하며 3시간 마라톤회의가 성과없이 끝났고, 2차회의가 열릴지조차 의문스런 상황.

그런 처지에서 천안문화원은 지역사회가 인정하든 안하든 독자적으로 원장선출을 감행하고 나섰다. 비대위 회의가 있고 난 사흘 후 천안문화원은 이사회를 열고 ‘원장선출’건을 독자추진했다. 지난 8월12일 오전 12시까지 접수마감한 결과 오열근(대학교수), 이종록(민주평통), 남상호(자영업) 3명이 원장후보로 등록, 18일(화) 회원총회를 통해 선출한다는 방침이다. 현재 알려지기로는 문화원 회원수는 133명, 그중 투표권을 가진 이는 83명 뿐이다.

<김학수 기자>

천안문화원 총회에 관한 시민단체 입장표명

 

천안문화원이 '그들만의 리그', '무늬만 총회'라는 시민사회의 조롱을 받으면서 새 원장을 뽑기 위한 총회를 강행하고 있다. 그러나 이번 총회는 문화원 정상화의 출발점이 아니라 또 하나의 파행으로 이어지는 징검다리일 뿐이다.

당초 법원으로부터 문화원장직무대행으로 임명된 반인충씨는 지난 5개월을 허송세월 보내다가 임기 초읽기에 몰려 '천안문화원 정상화를 위한 비상대책위원회'를 구성하였다. 현재의 문화원 이사회나 총회의 무능을 자인하고 시민사회의 동의를 얻어 정상화 돌파구를 찾으려는 고육책으로 이해하였다. 그러나 단 한 번의 회의 후 비상대책위원회를 일방적으로 해체하고 자신이 불신하였던 이사회와 결탁하여 총회 소집을 강행하기에 이른 것이다.

원장 후보자를 추천한 회원들의 면면에서 나타나듯이 현재의 총회 구성원들은 문화원 파행의 주책임자인 특정인들의 비호세력이다. 이들 또한 파행의 원인제공자로서 문화원 정상화를 위한 인적 청산의 대상이라 아니할 수 없다. 더구나 문화원 파행의 주범들이 원장 선출 과정에 직간접적으로 개입하고 있어 총회의 정당성은 철저하게 훼손되어 있는 상태다.

특정 세력에 의해 사유화되어 있는 이번 임시총회에서 누가 새 원장으로 당선되든지 그것은 그들만의 이벤트일 뿐이다. 시민사회는 이번 임시총회 자체를 '그들만의 리그'로 규정하고 천안문화원의 파행이 지속되고 있음을 확인해 두는 바이다.

아울러 천안시는 기왕에 추진하고 있는 천안시 소유의 천안문화원 재산에 대한 행정대집행 절차를 일각의 착오도 없이 준엄하게 집행해 줄 것을 촉구한다.

 

2009년 8월 17일

범대협, 문화클린네트워크, 천안문화원 전·현직 이사. 회원(일부)

김학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