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전통마을’ 추진이 물밑에서 잠깐 반짝이고 말았다.
전통마을 추진자들 30여 명이 조합까지 만들었지만 추진촛불은 1년만에 꺼졌다. 처음부터 조합이 스스로 꾸려갈 힘도 없었지만, 해체하기까지는 내부갈등이 근본적인 이유가 됐다.
이들은 1년 전 ‘천안의 열악한 예술활동 환경을 바꾸기 위해서는 전통예술마을이 절대적’이라며 필요성을 인식했다. 묵묵부답인 시행정에 기대기보단 먼저 조합을 통한 강력한 추진바람을 일으켜보자는데 의기투합한 것.
공예가들이 모인 모 협회 위주로 구성하다 보니 조합원은 가족같은 개념. 하지만 시간이 갈수록 이해관계가 얽히며 갈등양상으로 치달았다. 자격요건 문제로 일부가 떨어져나가고, 조합장 문제로 상처를 입었다. 임원에 대한 도의적인 문제로 다툼이 일고, 급기야 명예훼손 등으로 고소장까지 쓰여졌다. 각서와 확인경위 등이 오가며 ‘흙탕물’로 변질된 조합. 일부는 ‘발 담그기 싫다’ 나오고, 일부는 대립하며 사분오열. 결국 6월 말경 1년만에 해체하는 비운을 맞았다.
한 조합원은 “처음부터 문제가 있었다. 우리가 잘 모르고 시작한 부분도 있었고, 경제적으로도 열악함을 안고 있었다.”고 말했다. 주도했던 몇몇이 전통마을 추진과는 무관한 내용으로 다툼이 일고, 신뢰를 떨어뜨린 것도 ‘중도해산’이라는 강수를 둘 수밖에 없는 것으로 분석했다.
조합측에 따르면 인간문화재나 명장을 끌어들여 50여 명이 참여하는 조합을 추진했다. 장소나 부지는 미정이며 상당한 부분에서 천안시의 행정적, 경제적 지원을 필요로 했다. 2만평 정도 부지를 시가 마련해 30년 저리상환 등의 방식으로 참여자의 부담을 지워줄 수 있어야 가능하다는 판단. 또한 기반시설이나 야외공연장, 공공화장실 등도 시의 몫으로 돌렸다. 이들은 6000만원 정도만을 투자해 20평의 살림공간과 일정규모의 작업장을 얻는 것으로 생각했다.
하지만 시가 도울 수 있는 부분은 무척 작다. 시 관계자는 “행정적 지원 외에 일부 기반시설을 갖춰주는 정도에서 지원방안을 고려할 수 있는 정도”라는 대답이다. 시가 전통마을을 주체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아닌, 일부 특정인들의 조합추진은 ‘특혜시비’에 민감한 시가 수동적일 수밖에 없는 처지다.
전통마을에 대한 조합원들의 기대는 ‘떡줄 사람은 생각지도 않는데 김칫국부터 마신 셈’이다.
<김학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