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문화원이 ‘이사총사퇴’를 이끌어냈지만 단지 정상화의 출발점에 섰을 뿐, 갈 길이 멀다는데 인식을 같이 한다.
정상화 수순은 현재 두가지 길을 열어놓고 있다. 문화원 자체 해결방안이 첫 번째 길. 먼저 전국이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있는 정관개정을 이루는 것이다. 주요내용에는 ‘회원으로 등록된 후 바로 회원자격을 갖게 되는 것’으로, 기존에는 6개월 후에야 투표권한이 발생했다. ‘정관개정-건전한 다수회원 확보-원장선출’이라는 절차를 밟는 것은 정상화 수순. 하지만 정상화를 발목잡는 세력들이 정관개정을 원치 않는다는데 고민이 있다. 정관개정은 총회의결사항으로 3분의2 참석에 3분의2 찬성이 있어야 통과되는 상황. 문화원 관계자는 “현재 70명 정도의 회원중에 3분의2 참석을 끌어내는 것도 어렵지만 3분의2 찬성을 얻어내는 것은 불가능에 가깝다”고 토로했다.
자체해결이 어렵다면 ‘비대위’를 통한 외부도움을 받는 방법이 있다. 반인충 원장 직무대행은 지난 15일(수) ‘비상대책위원회’ 구성과 관련한 준비를 직원들에게 지시했다. “비대위는 최후수단”이라고 강조한 반 원장이 ‘비상위’를 꾸려가려는 건 그만큼 문화원이 자정능력을 상실했다고 볼 수 있다. 최병연 부장은 15일(수) “지역사회 각계각층을 대표하는 사람들로 구성하는 것을 고려하고 있다”고 전했다.
하지만 비대위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총회 의결을 거쳐야 하는 상황. 정관개정을 통한 정상화와 같은 절차를 밟아야 하는 형국이다. 두 과정 모두 어렵기는 마찬가지. 걸림돌이 되는 세력들이 대세를 따라 사욕에서 물러나야 쉽게 갈 수 있는 사안이다.
결국 적극적인 돌파 밖에는 답이 없다. 정상화 성패는 문화원장 직무대행의 강한 의지가 중요한 관건인 것. 한 이사는 “무혈입성이 어렵다면 희생을 무릅쓰고라도 단기간에 정상화를 보이는게 순서다. 안타깝지만 이 방법밖에는 없다”고 견해를 밝혔다. 다른 관계자는 “법을 놓고 보자면 그동안 파행중에 발생한 많은 부분들이 비정상적으로 추진돼 왔다. 이사 자격논란과 절차적 문제 등이 제대로 지켜지지 못한 채 진행돼 왔지 않느냐”며 “절차만큼 중요한 건 지역사회의 문화원으로 하루속히 정상화되는데 있다”고 높였다.
그렇기에 문화원 내부에서도 ‘행정대집행’을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도 회비를 대납해주면서까지 신입회원을 받고있는 불순한 세력들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한 관계자는 “그네들이 원인이 돼 발생한 법인 빚 1억5000만원도 그들이 책임지나 보자”고 비난했다.
<김학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