쌍용동 모 아파트 80세대 라인에 3일이 지나도 58부가 놓여있다. 그나마 우편통에 꽂아놓은 다른 라인은 그냥 버려두고 가는 통에 산더미처럼 쌓여 청소부가 곧바로 치워 미관을 유지한다는 것이 관리인들 말이다.
지난 9월 말 도심의 한 아파트 단지에 천안사랑소식지가 배달됐다. 소식지는 천안시가 월1회 발간하는 16쪽 홍보물로, 회당 20만부 이상 찍어내고 있다. 배달인력은 주로 이·통장들로, 아파트의 경우 개별우편함에 꽂아놓든가 아님 승강기 옆에 쌓아놓는 방식을 취하고 있다.
A아파트의 한 개 복도식 라인을 관찰했다. 총 80개의 우편함이 있는 상황에서 승강기 앞 의자에 다소곳이 놓여있는 소식지는 며칠이 지나도 상당부분 그대로 남아있었다. 실제 세어보니 58부였다. 가구수에 맞췄다면 총 22부만 없어진 것이다.
22부도 온전히 가져간 것은 아니었다. 그 자리에서 훑어보고 ‘툭’ 던져놓는 통에 바닥에 떨어진 것들은 무조건 청소부 차지이기 때문이다. 다른 동 라인 서너곳을 가봤더니 그곳은 전혀 소식지를 찾아볼 수 없었다. 사람들의 손길만 기다리던 58부는 4일인가 지나서 한순간에 사라졌다.
경비실을 찾아 실태를 물었다. 경비반장은 “의자에 쌓아놓는 소식지는 며칠 지나면 청소부가 한꺼번에 치우지만, 개별우편함에 꽂아놓는 라인은 대부분 집으로 가져가지 않고 바닥에 버리기 때문에 바로바로 치워진다”고 해명했다. 덧붙여 “차라리 쌓아놓는 경우 청소하기라도 편한데, 개별우편함에 꽂는 방식은 주위까지 지저분하게 만든다”고 불만을 보였다.
버려지는 소식지가 얼마나 될지를 묻자 함께 있던 다른 경비원은 잠시 생각하더니 “80%도 넘게 버려진다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경비반장은 “불당동의 내가 사는 아파트는 이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자체적으로 소식지통을 마련해 꽂아둔다. 신방동의 한 아파트는 승강장 안에 소식지통을 설치해놓기도 했다고 들었다”고 귀띔한다.
이들 경비원은 승강장 앞에 미관을 고려한 소식지통을 설치하고, 필요한 사람만 볼 수 있도록 부수를 조절해 꽂아놓는 것이 제일 좋은 방식임을 강조했다.
이같은 소식지 운영방식의 비효율성은 장기수 시의원과 송건섭 의장이 2006년 행정사무감사때 지적하기도 했었다. “현재 방식으론 낭비가 크다. 바람불면 날라가고, 보는 사람이 적다. 신문삽입이든 우편발송이든, 또는 아파트게시판을 활용하든 대안을 찾으라”고 주문했고, 송건섭 의장은 “시기적 정보가치가 떨어져 보는 사람이 20%도 안될 것”이라며 정보가치에 대한 고민을 요구하기도 했다.
그같은 지적에 공감한 시는 어떤 방법이 가장 효과적인지를 적극 고민하겠다고 밝혔은나, 2년이 지난 지금도 운영방식의 변화를 전혀 찾아볼 수 없다.
<김학수 기자>
취재마감 이후//
-시의 해명이 들어왔다. 대체로 공감하면서 일부 섭섭함도 표현했다. 엄천섭 공보관 홍보기획팀장은 "변화를 보이고 있잖으냐"며 시가 읍면동별로 시범구역을 정해 각각 한개 동에 지난 8월경부터 소식지를 줄여 함에 비치해놓고 있다는 것이다. 시의회 장기수 의원 등과 본 기자의 지적에 공감해 노력하고 있다는 것이다. 연말까지 관찰해 성과여부에 따라 변화를 주겠다는 의도를 내비쳤다. 하지만 함의 설치여부 등에 초점을 맞추고 있는 듯한 인상이 들었다. '축소여부'에 대한 언급이 가장 중요한 관건임에도 별 언급이 없는 것. 미관과 관리방법의 변화만을 추구하는 것일까. 아님 예산 효율성을 들어 축소여부를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걸까. 현장 관리실 관계자들 얘기는 '20% 남짓' 보는 정도로 파악하고 기자가 관찰하기도 그 정도지만, 시는 '70% 이상'으로 잡는 것도 괴리감이 크다. 양측의 차이가 큰 이유에 대해 좀 더 시의 적극적인 실태파악 필요하다. 사실과 다른 과대 또는 과소됐다면 집행기관의 정확한 파악이 보완돼야 할 문제이기 때문이다.
몇달 전 시가 보도자료를 통해 홍보하고자 한 것은 '다중집합장소에 벽걸이함 등 미관을 고려한 디자인으로 설치해 비치했다'는 추가서비스 개념에 집중한 반면 훨씬 심각한 읍면동 시범구역 추진은 뒷전으로 돌려놨다. 시가 강조해야 할, 고민해야 할 부분이 잘못됐다. 이는 아파트를 중심으로 버려지는 소식지에 어떻게 효율화를 기할까 하는 내용과는 상관이 없다.
또다른 논의의 초점은 '형평성' 부분이다. 시는 일부 세대만 보도록 하는 것은 문제기 때문에 '전부 아니면 전무'가 형평성에 맞다는 주장이다. 하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평등속의 차별이 민주주의 사회가 지향하는 바이기 때문이다. 시 주장의 잘못된 예로는 시의 시정뉴스 등 지역방송을 통한 홍보가 전세대에 전달되고 있다는 얘긴가. 가급적 평등원칙을 고수해야 하지만 '선택적 판단'을 통한 다양한 접근법이 오히려 평등에 가깝다. 굳이 이렇게 따지지 않아도 소식지 지적은 형평성과 무관하다. 100명이 살고 있는 어느 지역에 30명만이 보는 소식지가 있는데 왜 함에는 100장을 꽂아놓느냐 하는 문제지적이지 않는가. 안보는 70장은 버려지는 예산이다. 차라리 50장 정도 꽂아놓고 보는 이들이 점차 늘면 그에 맞춰 100장으로 늘려가면 된다. 보고싶은 사람은 누구나 볼 수 있으면서, 버려지는 소식지(예산)을 최소화할 수 있는 극히 '효율적 방법'이다.
대책방안에 무심한 행정이라면, 시민들은 '내 귀한 세금이 저렇도록 낭비돼야 하느냐', '왜 인쇄소만 배불리느냐', '시 예산이 넘쳐나서 썩고있는 거냐' 는 등의 행정불신과 불만이 폭주할 뿐이다. 다행히 시가 개선을 염두로 시범구역을 정해 관찰하고 있단다. 제대로라면 내년엔 반드시 축소돼야 할 거다. 아님, 일부 지적을 해소하기 위한 형식만 취한 것이 될 테니까... 쟁점은 왜 보지도 않는 소식지가 엄청난 양으로 뿌려져 낭비돼야 하는가, 해결방안은 뭔가에 대한 것임을 분명히 인식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