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0일 서울시가 길거리 쓰레기통을 다시 설치키로 했다. 쓰레기통이 없어진 건 1995년 쓰레기종량제가 시행되면서부터다. 얌체족들이 집안의 쓰레기를 길거리쓰레기통에 불법투기하자 서울시가 절반 가량이나 되는 쓰레기통을 없애버린 것이다. 그렇게 12년이 지난 지금 종량제 문화가 자리잡았다고 판단한 서울시는 지하철역이나 버스정류장 등 시민들이 밀집하는 지역에 재설치하겠다는 뜻을 밝힌 것이다.
쌍용공입구에 누군가 버리고 간 쓰레기봉지가 행인들의 눈살을 찌푸리게 하고 있다.
터미널 맞은편 소공원은 운치있는 공원이기도 하지만 각종 쓰레기로 몸살을 앓고 있기도 하다.
“쓰레기통 설치에 대해서는 우리시도 진지하게 검토해보겠다.”
김대응 천안시 청소행정과장은 쓰레기통 설치가 어렵진 않으나 잘 지켜질 것인가에 대해 시민의식을 살펴본 후 시행할 생각을 내비쳤다. 일단 번잡한 거리나 공원의 경우 담배꽁초나 껌, 음료수병 등 쓰레기를 버릴 곳이 없다는데 공감했다. “공원에선 음식을 못먹도록 돼있지만, 껌 등 자잘한 쓰레기가 발생할 수 있다”며 시행하게 돼도 정확한 사전판단을 통해 가부를 정하고, 범시민운동으로 전개해 빠른 시일 내에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판단도 내렸다.
천안시 소공원의 관리실태는 열악한 형편. 10명 안팎의 관리요원들이 천안 관내를 돌고 있어 ‘일주일에 한번’ 관리하기도 어려운 실정이다. 이런 상태에서 소공원이 깨끗하게 유지되기를 바라는 것은 어불성설.
신부동 대림아파트 앞 소공원은 터미널과 인접해 유동인구가 많지만 온갖 잡동사니 쓰레기들로 골머리를 앓고 있다. 거리와 차단하는 조경이 잘돼있다 보니 한 밤 노숙자나 한량들의 술자리로도 제 격. 술병이 깨져 있거나 막걸리병이나 안주감으로 먹다 만 음식물이 흘려있는 걸 보는 것은 어렵지 않다. 각종 과자봉지나 전단지 등도 너저분하다.
최근 조성된 봉서산 서부대로 옆 쌍용공원은 대체로 깨끗함을 유지하고 있다. 낮시간 주부나 아이들이 즐겨찾다보니 담배꽁초 등은 발견하기조차 어렵다. 지난 22일 쌍용공원은 20여 명이 산책과 체육시설을 즐기고 있었다. 하지만 공원입구에 쓰레기가 가득 든 검정봉지가 걸쳐있는 걸 발견했다. 누군가 공원에서 먹은 후 돌아가면서 버리고 간 것. 버리고 간 양심도 잘못이거니와, 그 큰 공원에 쓰레기통 하나 없다는 것도 문제가 있다.
이에 대해 시 공원녹지사업소의 김학준씨는 “어린이소공원은 규모도 적고 주택가에 자리잡고 있어 화장실이나 쓰레기통 설치 필요성이 적지만, 많은 주민이 휴게 및 체육시설로 활용되는 근린공원은 검토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그러나 설치보다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시행정의 제공인력은 한계가 있을 것이라며 대안찾기가 우리 모두의 과제임을 강조했다.
성무용 시장도 주민들에게 이해를 구한 바 있다. 연두순방때 등을 통해 주민들은 사람이 많이 드나드는 곳에 화장실과 쓰레기통 설치를 주문하곤 한다. 그럴때면 성 시장은 “설치야 당장이라도 해드릴 수 있지만 관리가 안돼 얼마 못가 애물단지가 돼버린다”며 “개인이든 단체든 누군가 관리봉사를 할 수 있다면 좋은데, 청소관리까지 시행정에 기대니 감당하기 어렵다”고 해명한다.
이같은 모순에 대해 일각에서는 시민의식 제고가 부딪치면서 자라는 것임을 주장한다. 의식의 성장에 대해 정병인 천안아산경실련 사무부장은 “피하고 덮어두기 보다는 드러내놔야 되고, 획일화된 법적장치를 통제수단으로 삼기보단 토론문화로 이끌어 올바른 방향에 대해 공유하는 인식의 틀을 형성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밝힌 바 있다.
그가 말한 대로라면 쓰레기통이나 화장실 설치문제의 경우 일부 시범구역이라도 정해 문제의 청소관리와 불법투기 해소를 위한 끊임없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이용객들의 자발적 관리를 조성하든가 관리봉사단체를 구해보고, 시행정은 적은 예산으로 효율적 관리가 가능한 지를 연구해볼 보는 것도 가치있는 도전일 듯.
공원녹지사업소의 한 관계자는 공원 내 시민편익을 위해 이같은 문제를 검토해보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김학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