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윤성희(좌), 변영환(우) |
천안예총회장선거 ‘윤성희 vs 변영환’ 2파전, 오는 10일 45명 대의원 투표
천안예총이 4년 임기의 새 회장선출을 앞두고 부산하다.
오는 10일(목) 치러지는 회장선출에는 문인협회 출신의 현 윤성희(54) 회장과 미술협회의 변영환(52)씨의 각축전이 될 전망이다. 투표권은 8개협회에서 각 5명씩 40명과 예총회장과 부회장 3명으로, 총 45명의 표가 당락을 좌우하게 된다.
이들이 내건 공약은 별반 차이점이 없다. 예총 차원의 숙원사업들이 언급되므로 공약 자체보다는 능력검증에 초점이 맞춰질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서로 다른 부분에서 장·단점이 신중히 모색, 표갈림이 발생할 것으로 분석된다.
먼저 출신성분이다. 윤 후보는 문협, 변 후보는 미협출신이다. 윤 후보 이전에는 미협출신이 이끌었다. 아무래도 ‘팔은 안으로 굽는 법’이라 해당 단체들의 목소리가 높을 것으로 보인다. 또다른 부문으로 윤 후보는 교사출신이지만 변 후보는 미술학원을 운영하는 자영업이다. 예총 내 일부에서는 교사출신에 대한 반감이 서려있다. 충남도예총회장도 10여 년 넘게 교사출신이 맡고 있는 등 회장이 직장에 메여 평일업무 보기가 힘들다는 비난속에 직면해 있던 것. 한 대의원은 “교사출신은 밤이나 주말에만 참여가 가능해 적극적인 활동이 어렵다”며 “평일에도 시청이나 예총회원간 토론 등 일을 해나가야는데 그런 부분은 불편이 크다”고 귀띔했다. 이에 대해 한 교사출신 회장은 “약간의 불편은 있지만 업무에 심각한 지장을 초래할 정도로 문제가 되진 않는다”며 일소했다.
공약은 비슷, 능력은 글쎄
4년동안 천안예총을 이끌어온 윤성희 후보는 지난 임기에 내건 공약은 큰 틀에서 볼 때 지켜졌다고 본다고 전제한 뒤 “하지만 천안예총이 제 궤도에 오르기 위해선 아직 갈 길이 멀고, 완성되지 못한 부분을 좀 더 보완해야겠다는 사명감이 다시 도전하게 만들었다”고 밝혔다.
반면 도전자로 나선 변영환 후보는 “작업하기엔 부적절한 환경이라 뛰쳐나올 수밖에 없었다”며 예총의 설립목적인 ‘권익옹호’가 전혀 안돼있는 현실을 개탄, 적극적으로 타개책을 모색해 척박한 예술인들의 토양을 개선하겠다는 의지를 강하게 내비쳤다.
‘재정확보’는 천안예총의 오랜 숙원이다. 열악한 재정이 협회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고있는 현실에서 이같은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재정확보는 시급한 현안으로 떠오른지 오래다.
재정확보에 대한 갈급함은 두 후보 모두에게 있다. 해결방안도 ‘시 지원’과 ‘기업 메세나’를 똑같이 언급하고 있다. 시행정의 지원 확대와 함께 관내 기업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참여지원을 이끌어내야 한다는데 의견을 함께하고 있다. 변 후보는 좀 더 수준높고 비중있는 작품활동을 통해 창작지원금을 마련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설명했다.
‘예술계 위상정립’도 둘은 같은 목소리를 냈다. 다만 윤 후보는 예총위상 제고를 위해 예술인들의 사회공헌활동이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생각이다. 시민들이 예술인들을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데에는 예술인들이 자기활동에만 매몰돼 있기 때문이라며 “현재는 주민과 결혼이주민, 외국인노동자의 다문화사회가 형성돼 있는 만큼 이들이 서로간 교류하고 이해하는 장을 문화예술인들이 마련해줘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런 노력이 있을때 문화예술인에 대한 사회 관심도가 높아지며, 자연스럽게 문화예술의 활성화로 전개될 것이라고.
반면 변 후보는 예술계 위상을 예총기능의 정상화에 두고 “예총기능은 권익옹호와 친목도모에 있지만 특히 ‘권익옹호’가 안 돼있다 보니 위상을 찾을 수가 없다”고 말했다.
이같은 권익옹호에는 먼저 예술인들이 활동할 수 있는 재정확보와, 유명무실한 천안예술지의 활성화, 예술인들의 활동을 돕는 홍보부분을 꼽았다. 자본시대에 예술인 활동도 자본으로 보상받아야 한다는 논리를 펴며 “예총회원들에 대한 정보수집과 홈피활성화 등을 통해 개인전시라도 예총을 통해 충분히 홍보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 대의원은 “윤 후보가 되면 4년동안 해왔던 틀 속에서 현 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는 선에서 발전할 것이고, 변 후보가 되면 성패에 대한 변화가 클 것으로 보인다”며 “남아있는 기간 변 후보의 능력이 어느 쪽에 있는지 심도깊은 검증이 필요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