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원교
기상대는 기상관측소와는 달리 해당 지역에 여러 가지 유익한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할지역에 대한 기상예보를 비롯해 중요행사에 대한 특별기상지원, 지역주민 대상 기상교실 운영, 기상재해 대처요령교육, 기상민원증명서 발급 등 지역사회와 밀접한 연관을 갖고 있다. 기상관측소를 갖고 있는 천안시도 이같은 이유로 2001년 대전기상청 중장기계획에 ‘천안기상대 승격’을 건의하기도 했다. 하지만 2006년에 이르러 기상대 추진이 가능해지자 이번에는 주민들의 반발에 부딪쳐 무산됐다. 기상관측소나 기상대로부터 일정거리에 대한 ‘고도제한’이 있다는 걸 해당주민들이 알게 되면서 관측소는 ‘애물단지’로 전락, 이전민원이 들끓게 됐다.민원의 한가운데 있는 정원교 신방31통장은 3대째 이장일을 봐온 이 지역 토박이다. 2003년 우연히 고도제한이 있음을 알게 되면서 각종 민원을 제기한 결과 관련 내용을 스크랩해 놓은 자료가 한 무더기다. “농경지라 예전에는 문제없었다지만, 지금은 저 앞까지 신방·통정지구가 들어서는 지역으로, 개발바람이 한껏 부는 곳이 돼버렸다”는 정 통장은 “자칫 고도제한으로 개발이 묶이는 불이익을 받을 우려가 높다는데 주민들의 이해가 크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관측소도 떠나라 할 판에 기상대 승격이 웬 말이냐며 차라리 당장 떠나라는 판이다. 덧붙여 기상대를 반대하는 것이 아니라, 심각한 재산상 피해가 우려되는 이곳에서 옮기라는 주장이다. “굴러온 돌이 박힌 돌 빼낸다고, 꼭 그 짝 아니냐”고 핏대를 올린다. 주민들의 적극적 반대의사에 대전기상청과 천안시는 ‘타협점’을 찾지 못할 것으로 내다봤다. 기상관측소로는 좀 더 있을 수 있겠지만 기상대로 운영되려면 적합지를 찾아 떠나야 한다는데 생각이 정리되고 있다. 시는 기상청이 협조를 원하면 관내 국공유지나 시유지를 우선 대상지로 물색하는 공동의 추진노력이 가능할 것이라고 언급, 정 통장은 가급적 이전을 전제로 천안시와 해당주민, 기상청 3자간 상생할 수 있다면 좋겠다고 소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