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2일(월) 첫 업무가 시작된 가운데 일부 기자들이 자기책상을 고수하고 있었다.
천안시청 기자실이 신청사 이전과 함께 11일(월) 완전히 사라졌다. 기자실이 폐쇄된 데 아무도 섭섭함을 얘기하는 이는 없다.
처음부터 기자실은 적과의 ‘동침’을 시도했으니 이제야 바로잡힌 것 뿐이다. 시 편의를 받으면서 시정을 공정하게 견제한다는 두집살림이 과연 쉬운 일인가.하지만 일부 기자들의 헛된 노력으로 잔재가 남게 됐다. 상대적으로 사무실을 둘 수 있는 지역신문의 여유로움에 비해 지역을 연고로 하지 않는 전국지 및 일부 지방지 기자들의 열악함이 ‘기자실 사수’에 열올리고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 시청 공무원의 나약한 의지가 브리핑실과 기자실을 교묘히 섞어놓고 있다. 기자실 존치주장이 일부 기자에 한한다는 것은 그나마 다행이다. 신청사 이전과 함께 기자실이란 명패는 사라지고 대신 ‘브리핑실’이 새롭게 자리잡게 됐다.
시는 ‘사무실 공간도 부족하다’며 당초 기자실 제공은 안 된다는 입장을 보였다. 일부 언론사와 시민단체, 공무원 직장협의회도 기자실 존치를 반대하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시는 브리핑실의 내벽에 독서실처럼 책상을 설치해 기자들을 배려하고 나섰다. 18개의 책상이 놓여졌고 인터넷 랜선이 책상마다 설치됐다. 한쪽은 응접실도 마련됐고, 전화기도 몇 대 설치할 모양이다. 브리핑실인지 기자실인지 분간이 안 간다.결국 브리핑실을 핑계삼아 기자실화한 것으로 보여진다.
시 관계자는 잔뜩 불만스런 표정을 지으며 “기자들 내부에서 말이 많아 죽겠다”고 하소연한다. 브리핑실에 기자들 책상이 놓여지기는 했지만 시는 ‘책상의 개인화는 안된다’는 입장을 강조하고 있다. 기자마다의 고정자리가 정해지면 브리핑실이 아닌 것. 오히려 기자실에 브리핑실이 추가된 것으로 봐야된다.
시도 이를 알기에 개인화에 우려를 표명하고 있다. 그러나 지난 12일(월) 첫 업무가 시작된 가운데 우려대로 일부 기자들이 자기책상을 고수하고 있다. 기자들이 자기 밥그릇 챙기는 데는 누구보다 빠르다는 사실이 새삼스럽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