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화 마을을 추진하는 행자부는 3개 요건이 성패를 좌우한다고 보는 입장이다. 자치단체와 주민의 참여의지, 그리고 수익모델이다.
정보화 마을 추진이 일각에서는 농촌살리기의 복안이 될 수 있다는 커다란 기대속에서도 우려를 감추지 않는다. 먼저 자치단체의 의지가 아직 불투명하다. 행자부는 적어도 3명의 전문직을 포함, 5명 이상이 이 사업에 매달려야 한다고 내다봤다. 하지만 천안시는 단 1명의 전산직 인력이 전담하고 이마저도 업무중 하나로 처리되고 있는 실정이다.
정보화 마을 사업이 자치단체(특히 도·농복합)의 농촌시책의 사활로 내걸고 농업기술센터나 농정과 전산인력으로 구성된 전담팀이 구성되지 않고서는 불가능하다는 판단이다.
주민참여의지도 마찬가지, ‘나서는 이’가 전무하다. 특히 농촌인구의 대다수가 노령층이고 보면 소수의 40?50대가 적극적으로 나서지 않으면 안 된다.
한 관계자는 “그나마 일에 매달릴 수 있는 장년층이라 해도 정보화 능력이 빈약”하다는 말을 내놓는다. 전자상거래가 뭔지, 어떤 효과를 기대할 수 있는지 태반이 모른다는 얘기다. 배우고 참여하려는 적극적인 의사 없이는 어떤 성과도 기대할 수 없다.
지역특산물에 대한 전자상거래가 어떻게 추진될 것인가. 마을정보센터 구축을 통해 수익사업과 연계가 가능한가 하는 것은 시와 주민참여의 결과물로 이어진다. 만약 시와 주민이 적극적인 노력을 보인다 하더라도 수익창출을 이루기 위해서는 더욱 많은 노력이 따른다.
2001년도부터 시작된 정보화마을 사업은 이미 1백3개가 정보화 구축을 완료하고 성과 내기에 안간힘을 쓰고 있지만 들리기로는 금산 인삼마을 등 극히 일부만이 기대에 부합하는 정도다.
기대를 갖고 시작했으면 좋은 결과를 맺기 위해 최선을 다해 뛰어야 하지 않을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