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충남도, 간척지에서 미래먹거리 키운다

서산·태안 천수만 AB지구, 미래항공모빌리산업 집적지 꿈 부상, 당진 석문간척지에는 수산식품 집적지·첨단 양식단지 조성 추진

등록일 2024년06월10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민선8기 충남도가 ‘간척지’를 미래 먹거리의 보고로 키워가고 있다고 밝혔다.

식량자급을 위해 바다를 메워 벼를 재배하던 간척지가 미래산업 중심지로 부상하고 있다. 10일 도에 따르면, 폐유조선을 이용해 방조제를 만들며 ‘정주영 공법’으로 유명한 서산·태안 천수만 간척지는 첨단미래항공모빌리티 클러스터로의 꿈이 크고 있다.
 

문의/ ▲미래항공연구센터·UAM AVV 핵심부품 시험평가 기반 구축·미래항공모빌리티 육성 등: 모빌리티산업팀 박종원 041-635-3958 ▲충남 글로벌 홀티콤플렉스: 원예산업팀 길나영 041-635-4051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산분원: 이동제 041-635-3930, ▲수산식품 클러스터: 어촌정책팀 류병성 041-635-4841 ▲충남형 스마트 양식단지 등: 양식산업팀 노은주 041-635-4136 ▲스마트 축산 복합단지: 스마트축산정책팀 오형길 041-635-4101


우선 태안 천수만 B지구에서는 국방과학연구소(ADD) 국방 미래항공연구센터가 2031년 문을 연다. 지난 5월24일 김태흠 지사와 이건완 ADD 소장 등이 업무협약 체결을 통해 건립을 공식화 한 미래항공연구센터는 총 2543억원의 예산이 투입된다.

ADD는 미래항공연구센터에 무인기 연구개발 활주로, 비행통제센터, 격납고, 주기장 등 최신시설과 장비를 구축하고, 전국에 분산된 무인기 연구개발시설을 집적해 항공분야 종합 연구·시험장으로 활용할 계획이다.

미래항공연구센터 맞은편 B지구 서산 바이오·웰빙 연구특구 내에서는 그린 도심항공교통(UAM)-미래항공기체(AAV) 핵심부품 시험평가 기반 구축을 추진한다.

이 사업은 5년간 320억원을 투입, 수소전기 추진 시스템과 자율비행제어기, 이착륙·비상착륙 지원 시스템 등 수소전기 UAM-AVV 핵심부품 성능과 양산성 평가 기반을 마련한다는 내용이다.

서산B지구에서는 또 현대자동차그룹과 미래항공모빌리티(AAM) 육성을 위한 협력을 약속했다. 천수만 지역에서의 첨단미래항공모빌리티 사업 추진을 위한 민·관협업 및 행정추진체계도 마련했다.

도는 UAM산업 육성방안 연구용역을 통해 기본계획을 수립했고, 수소연료 기반 시험연구 환경 구축을 위해 현대자동차, 현대건설, 현대글로비스 등과 협약도 체결했다. 지난해 10월에는 한국공항공사, 한화시스템, SK텔레콤, 티맵모빌리티 등과 충청권 초광역 UAM 사업 추진 및 상용화를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한 바 있다.

바이오·웰빙 연구특구 내에는 이와 함께 전국 최대·최고 스마트팜 단지인 충남 글로벌 홀티 콤플렉스가 설치돼 2026년부터 가동한다. 홀티 콤플렉스는 50만8200㎡ 규모로, 3300억원을 투자해 생산·유통·가공·정주·교육 기능을 갖춘 스마트팜 집적단지(38만6100㎡)와 융복합단지(12만2100㎡) 등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서산분원은 바이오·웰빙 연구특구 내 3만㎡ 부지에 2026년까지 396억 원을 투입해 연면적 9280㎡ 규모로 건립한다는 계획으로, 도는 서산분원 유치를 위해 연내 타당성 재조사 도전에 나설 방침이다.

당진 석문 간척지에서는 수산식품 클러스터와 충남형 스마트 양식단지 등 수산분야 미래 먹거리를 키우고 있다. 수산식품 클러스터는 석문 간척지 9만1406㎡의 부지에 2028년까지 1900억원을 투입해 건립 추진 중이다.

주요시설로는 △국내 생산 새우 원물을 100% 활용할 수 있는 전문가공시설인 ‘스마트 가공처리센터’ △수산식품 기업 입주·기술개발 지원시설인 ‘블루푸드 벤처혁신센터’ △저렴하게 냉장냉동창고를 제공하는 ‘상생형 저장물류센터’ 등이 있다.

도는 이 클러스터 조성을 위해 지난 1월 예비타당성조사 대상 사업으로 해양수산부에 신청서를 제출했다.

충남형 스마트 양식단지는 올해 국비 100억원을 확보, 연내 사업계획을 수립하고 실시설계를 진행한다.

이 양식단지는 석문 간척지 14만5000㎡ 부지에 2027년까지 400억원을 투입해 조성하고 김이나 새우, 연어 등 미래전략양식 품종을 육성할 계획이다.

석문은 또 간척지를 활용한 스마트 축산 복합단지 조성 연구용역에서 사업대상지 중 하나로 제시된 바 있다.

스마트 축산복합단지는 산재한 소규모 축사를 대규모 첨단단지로 모으고, 공동 방역·가축분뇨 처리·에너지화 시설·스마트 온실 등을 집적함으로써 축산업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미래 축산모델이다.

도는 인근 송악 간척지에서도 연어 등을 양식하는 스마트 양식장 조성 사업을 추진 중이다.
 

김학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