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팔월 한가위 가족과 사랑을

등록일 2003년09월06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추석유래와 차례지내기 등 풍속속으로 우리 민족 최대의 명절 추석. 한가위 또는 옛 말로 한가부로 불리는 추석은 우리 민족이라면 누구나 이른 아침에 일어나 새옷을 갈아입고 자신의 뿌리인 조상님들께 차례를 지내는 명절이다. 일부 지방에서는 자정 이후 차례를 지내는 곳도 있지만 우리나라 대부분 가정에서는 추석날 이른 아침에 차례를 지낸 뒤 온 가족들이 둘러앉아 차례음식을 먹고 곧 바로 조상 묘소를 둘러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추석, 한가위의 유래와 명칭 우리가 추석 또는 한가위라 부르는 가윗날의 유래를 살펴보면 삼국사기에 기록된 신라 제3대 유리왕 9년(서기 32년)으로 거슬러 올라가야 한다. 삼국사기의 기록에는 “왕이 6부를 정하고 그 부에 소속된 여자들을 두 패로 가른 뒤, 편을 짜서 음력 7월16일부터 날마다 6부의 뜰에 모여 길쌈을 하면서 밤늦게까지 일을 했다”고 한다. 그러다가 음력 8월15일이 되면 그 공이 많고 적음을 따져 지는 편이 술과 밥을 장만해 이긴 편에게 사례를 했다고 기록되어져 있다. 그리고 이 때 온갖 유희가 일어나니 이를 「가배(嘉俳)」라 한다라고 기록되어 있다. 가배는 가부, 가뷔의 음역(音譯)으로 “가운데”란 뜻이라고 한다. “가위”란 단어로 바뀌어지며 오늘날 8월 한가위란 말로 불리게 됐다. 차례는 다례(茶禮)에서 유래 차례는 원래 다례(茶禮)라고 해 다(茶)를 행할 때의 모든 예의범절을 뜻하는 말이었다. 하지만 지금은 다례라 하면 대부분 궁중의 다례나 불교의 다례 등을 뜻하는 말이 됐고, 차례가 명절에 조상님께 지내는 제사를 뜻하는 말로 자리 잡았다. 차례를 지낼 때 모시는 조상은 고조부모,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의 4대를 지냈다. 하지만 요즈음에는 증조부모, 조부모, 부모 순으로 3대 정도를 지내는 가정이 대부분이다. 차례상에는 정초에는 떡국을 놓지만 추석에는 반드시 송편을 놓고 과일, 포, 탕, 식혜, 어적, 산적, 나물, 전, 편, 국, 메 등의 순으로 음식을 놓는다. 그리고 제사는 먼저 제물의 진설이 끝나면 장자(長子)가 재배하고 헌작한 다음 멧밥을 올린다. 멧밥에는 숟가락으로 十자의 자국을 낸 다음 45 °각도로 꽂고 가족 일동이 모두 재배한다. 그리고 순서에 따라 잔을 올리다가, 국을 내리고 물을 올린 뒤 물에 밥 3숟가락을 만 뒤 제배를 하면 차례가 끝나게 된다. 제수를 제상에 배열하는 진설 진설(陳設)이란 제사에 사용하는 제수를 제상에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제수를 진설하는 방식은 각 지역마다 조금씩 다르다. 하지만 이런저런 방식을 따질 필요 없이 가문의 전통에 따르는 것이 가장 무난하다. 제수 배열을 할 때 동서의 구분이 애매한 경우가 많다. 이 때에는 제주가 제상을 바라보아 오른쪽을 동쪽, 왼쪽을 서쪽이라 한다. 그러면 제수의 배열 순서는 어떻게 하는 것인지 알아보자. 1.홍동백서(紅東白西)/붉은 과일은 동쪽에, 흰 과일은 서쪽에 둔다. 2.조율이시(棗栗梨枾)/왼쪽부터 대추, 밤, 배, 감의 순서로 한다. 3.생동숙서(生東熟西)/김치는 동쪽에, 나물은 서쪽에 둔다. 4.좌포우회(左脯右회)/포는 왼쪽에 젓갈은 오른쪽에 둔다. 5.어동육서(魚東肉西)/생선은 동쪽으로, 꼬리는 서쪽으로 한다. 6.두동미서(頭東尾西)/생선의 머리는 동쪽으로, 고기는 서쪽으로 한다. 7.건좌습우(乾左濕右)/마른 것은 왼쪽에, 젓은 것은 오른쪽에 둔다. 8.반좌갱우(飯左羹右)/메(밥)는 왼쪽에, 국은 오른쪽에 둔다. 9.남좌여우(男左女右)/남자는 왼쪽에, 여자는 오른쪽에 선다. 신주와 지방 제상에는 조상의 신체라고 생각하는 신주(神主)와 지방(紙榜)을 모신다. 하지만 대부분 신주보다는 지방을 사용한다. 신주는 닭소리, 개소리가 들리지 않는 깊은 산 속의 밤나무로 만들며 높이는 20cm 정도다. 지방은 가주라 하여 신주가 없는 가정에서 한지에 먹으로 쓴다. 보통 세로 22cm, 가로 6cm로 하면 된다. 만약 돌아가신 분이 벼슬을 하지 않았으면 “학생부군(學生府君)”이라 쓰면 되고, 만약 벼슬이 있었으면 관직명을 쓰면 된다. 제사가 끝나면 지방은 태우는 것이 오랜 풍습이다. 또 지방을 쓸 때에도 요즈음에는 “현고학생부군신위” 등의 까다로운 문구보다 “OOO아버님 신위” 등으로 아주 쉽게 쓰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다.
주아영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