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어사를 품은 은석산을 가다... 2021년의 봄

화사한 4월 초순, 개나리꽃 진달래꽃 핀 북면 은석산 탐방

등록일 2021년04월11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암행어사 출두요!”

춘향이가 사또의 수청을 거절하다가 곤장을 맞을 순간에 큰 소리와 함께 암행어사가 등장하는 장면은 자주 들어도 통쾌하다.

위기의 순간에 누군가 나타나 힘든 일을 해결해 주거나 억울함을 풀어주는 이야기는 흥미가 있다. 스파이더맨이나 원더우먼에 익숙한 세대도 어사 박문수는 익숙하다. 그 어사의 묘가 천안의 은석산에 있다.

진달래가 피었다는 소식을 듣고 은석산을 향했다.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와 은지리, 용암리의 경계 부분에 있다. 천안역에서 출발하여 차로 20여 분이면 산의 입구에 이른다.
 

마을로 들어서는 길에 박문수 묘를 안내하는 표지판이 있다.

멀리 은석산 능선은 부드럽게 이어지다가 잠시 헐떡거리며 오를 듯 경사가 졌다. 푸른 물이 오르기 전의 산은 지난해의 노고를 아직도 지고 있는지 옅은 자주색이다. 아담하고 예쁜 산으로 얼른 들어가고픈 마음에 운전대를 잡은 손에 힘을 주었다.
 

차가 산 입구에 서자 ‘역사문화 둘레길’ 안내판이 있다. 그중 은석산의 어사 박문수길은 6번째다. 몇 걸음을 앞으로 고령박씨종중재실 왼쪽에 주차장이 있다. 차에서 내리니 바로 암행어사 박문수 동상이 맞는다.
 

동상 아래엔 어사를 이렇게 소개했다

조선 숙종 17~ 영조 32년(1691~1756). 본관은 고령이며 호는 기은이다. 경종 3년(1723)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관이 된 후, 영조 3년 암행어사로 부정한 관리를 적발했고, 이때의 많은 일화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이후 도승지, 병조판서, 경기도 관찰사, 어영대장과 우참찬을 지냈다. 군정과 세정에 밝아 국정의 개혁 논의에 중요한 몫을 다하였으며 후에 충헌(忠憲)의 시호가 내려졌다.
 

오른쪽으로 고령박씨 중종 재실이 보인다.

재실은 문이 닫혔다. 박문수 어사의 유물관이 있었으나 도난과 관리 문제로 문을 닫았다. 재실을 지키는 후손도 떠났다. 고령박씨 종중은 500여 점의 유품을 천안박물관으로 보냈다. 섭섭한 마음으로 발길 돌려 집 주변을 보니 목련은 흐드러졌고 마당 가 느티나무 아래엔 함박꽃 싹이 한 뼘씩 올라오고 있었다.
 

은석산을 오르려면 재실 담을 돌아야 한다. 산 입구에 다다르자 마른 잎 사이로 취나물 싹이 두어 잎 보였다. 반가워 다가가는 손을 막으려는 듯 ‘야생화단지’란 푯말이 민들레꽃처럼 낮게 땅에 박혀있었다.
 

고개를 돌리니 시골 학교 운동장만 한 땅에 보리밭이 있었다.
 

푸르러지는 마음을 안고 산으로 발을 떼니 은석산 등산 안내도가 보인다. 어사 박문수 테마 길이란 부제가 들어있다.
 

몇 걸음 오르다 오른쪽을 보니 누군가 살았던 집이 사그라지고 있었다.

집 아래가 바로 계곡이다. 계곡을 낀 옛길로 접어들었다. 주변을 둘러보니 무덤 두 개가 있던 곳에 영산홍 몇 무더기가 필 준비하고 있었다.

2009년 등산로 3킬로에 영산홍 매실 등 만여 그루의 나무를 심었다는데 흔적이 별로 없다. 참나무가 주류를 이루고 몇 군데 소나무가 있을 뿐이다.
 

진달래꽃 몇 송이가 왼쪽 어깨 옆에서 하늘거린다.
 

몇 걸음 지나니 박문수 어사를 소개하는 그림 팻말이 보인다. 내용은 이렇다.

영조가 박문수를 무척 아꼈다. 해박하고 성격이 곧은 박문수는 바른말을 잘했다고 전해진다. 하루는 좌의정과 우의정이 박문수를 꾸짖었다.

“무엄하게도 상감마마 앞에서 어떻게 고개를 들고 말씀하시오?”

“고개를 숙이지 않고 허리만 구부리는 불손함이 어디 또 있겠소?”

그러자 박문수는 영조에게 또다시 허리만 굽히고 고개를 쳐든 채,

“전하, 임금과 신하가 마주 보고 이야기하면 한결 부드럽고 거리감 없이 진심을 주고받을 수 있사옵니다. 간신이나 고개를 숙이는 법이 옵니다.”라고 말했다.

영조는 고개를 끄덕이고는, 그 뒤부터 신하들은 고개를 쳐들고 말하라는 분부를 내렸다. 

 

곧은 참나무에 이끼가 가득하다.

이끼는 오염되지 않은 곳에 생긴다는데 이끼로 덮인 참나무를 보니 박문수의 올곧은 성정을 보는 것 같다.
 

어사 박문수의 됨됨이를 알 일화가 또 있다.

박문수는 노론 4 대신의 한 사람인 이우당 조태채와 반대당에 있었다. 조태채의 아들인 조관빈도 조정에서 벼슬을 하고 있었는데, 박문수는 평소 조태채의 충절을 흠모하여 조관빈에게 항상 은은한 정을 두고 있었다.

어느 날, 조관빈을 질투하는 자가 모함하여 장차 극형에 처할 상황이 되자 박문수가 그를 구원하고자 임금께 아뢰었다.

“관빈이 몹시 흉한 죄를 지었으니 마땅히 벌해야 합니다만, 결코 죽일만한 죄는 아닙니다.”

임금이 오히려 의아해하며 물었다.

“이는 네 원수가 아니냐?”

박문수가 아뢰었다.

“사적으로는 원수나 공적으로는 합당한 죄가 아닙니다. 전하께서 관빈을 꼭 죽이시려면, 신이 원수를 갚기 위해 청한 것으로 나라 안팎에 포고하고 죽이소서.”

이에 임금이 크게 감동하고 관빈을 사면하였다.

  

계곡을 따라 걷는 길이 심심하지 않다. 봄 산을 흐르는 물이 많지는 않으나 제법 물소리도 난다. 천천히 한 시간을 올랐을까 눈앞에 은석사가 햇살을 받고 있다. 350년이 넘는다는 팽나무가 수문장처럼 당당하게 맞는다.

은석사는 신라 문무왕 때 원효대사가 창건했다. 창건 당시엔 큰 사찰이었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옛 모습도 사라지고 규모도 작아졌다.

보광전에 있는 목조여래좌상은 충남 유형문화재 179호다. 목조여래좌상 뒤의 아미타 극락도 탱화는 철종 12년 (1861)에 제작된 것으로 태화산 마곡사 부용암에 봉안되었던 것을 옮겨왔는데 화원의 이름은 훼손되어 알 수 없단다.

은석사를 뒤로하고 어사 묘로 오르는 길은 나무 계단이다. 넓이와 높이가 걷기에 무리 없어 좋다. 10여 분을 올랐을까 왼쪽에 묘가 보였다. 어사 박문수 묘다.
 

묘 앞에는 화강석으로 된 무신 석 두 개와 상석이 있고 오른쪽 정면에 묘비가 있다. 어영대장과 우참찬을 지냈고 세무행정과 군사행정에 힘을 다한 공로로 무신 석이 세워졌다. 묘비는 1756년(영조32)에 세웠다.
 

“왕의 남자”란 영화가 있었다. 영화와는 다르지만, 박문수는 영조에게 특별했던 것 같다.

영조의 어머니는 무수리 출신이다. 어머니와 궁궐 밖에서 자란 영조는 홀어머니 밑에서 자란 박문수에게 정을 많이 느꼈나 보다. 직설적이고 고집이 센 성격도 비슷해서인지 영조가 특히나 아꼈다. 박문수가 죽자 영조는

“나의 마음을 아는 이는 영성이었고, 이제 그가 없으니 누가 나를 이해해 줄까?”라며 슬퍼했단다.

그는 노론이 득세했던 영조 시대에 소론 출신으로 유일하게 천수를 누리며 정쟁의 폐해를 입지 않았고 영조의 무한 신뢰를 받았다.

그래서 영조는 그에게 백성의 삶을 알아보게 했고 어사의 책무를 맡긴 것이 아닐까? 또 박문수는 임금의 신뢰를 바탕으로 어사의 임무를 곧게 해내지 않았을까?

혹자는 박문수가 어사로 파견된 것은 4차례이고 암행어사로는 파견되지 않았다고 주장하기도 한다.

그런데도 그가 암행어사의 대명사로 회자하고 있는 것은 백성들의 고통을 이해하고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는 의지가 굳었을 뿐 아니라, 절차에 구애받지 않고 파격적으로 일을 처리한 것 때문일 것이다. 또 뛰어난 실무능력과 강직한 성품 등이 암행어사 박문수로 이름 지어지게 된 것일 거다.
 
그의 무덤가에 진달래가 흩뿌린 듯 피어있다. 나라를 올곧게, 또 백성이 고통스럽게 살지 않게 애를 썼던 그에게 묵념을 올리고 내려왔다. 은석산은 백성을 사랑한 참사람이 머무는 곳이다.

‘어사를 품은 은석산’ 그래서 아름다운 산이다.

김다원 리포터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