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훈동 교수/순천향대천안병원 안과
눈 가장 뒤편에는 망막이라는 얇은 신경조직이 있다. 이 망막에 초점이 잘 맺혀야 사물을 정확히 볼 수 있다. 망막전막은 망막 앞에 새로운 막이 끼는 병이다. 망막앞막이라고도 불린다. 나이가 들면서 망막 표면에 세포의 증식과 결합조직 물질들이 침착돼 얇은 막이 형성되는 질환이 망막전막이다. 초점이 맺히는 망막의 중심부가 황반이다. 망막전막이 황반부를 침범하게 되면 시기능이 떨어질 수 있다. 망막전막이 황반을 잡아당겨 변형시키고, 두껍게 만들고, 쭈글쭈글 주름지게도 만들 수 있다. 망막전막이 과도하게 황반부를 변형시키고, 주름이 생기게 되면 황반의 시세포들이 손상을 입게 되고, 결국 시력이 떨어질 수 있다.
중년 이후 많이 발생, 다른 질환 동반여부 확인 필요
망막전막의 특별한 원인은 없다. 나이 들면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흔한 질환이다. 중년 이후 건강한 사람에서도 자주 발생한다. 망막혈관폐쇄, 포도막염, 눈 외상, 망막박리, 망막열공 등 망막 질환을 앓고 난 후 2차적으로 발생하는 경우도 있어 망막전막 환자는 다른 질환 동반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또 망막박리 수술, 레이저 광응고술, 냉동치료 등 망막 치료 후에도 발생할 수 있다.
두꺼워지고, 황반 침범하면 시력저하, 사물왜곡 발생
망막전막의 증상은 막의 위치, 두께, 황반 침범정도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초기에는 막이 매우 얇아 증상이 없을 수 있다. 안과 진료에서 우연히 발견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막이 황반을 침범하지 않았거나 황반에서 멀어 황반구조가 어느 정도 유지되면 시력도 정상이고, 특이 증상이 없을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막이 두꺼워지고, 황반을 침범하면서 황반구조를 변형시키면 시력이 떨어지고, 선이 휘어져 보이거나 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증상이 나타난다. 반대편 눈보다 사물이 크게 보이는 증상도 나타난다. 이는 암슬러격자를 이용한 암슬러 테스트로 확인할 수 있다.
OCT검사로 진단
망막전막은 망막을 들여다보는 안저검사, 안저촬영을 통해 발견할 수 있다. 망막의 단면을 볼 수 있는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CT)을 이용하면 더 미세한 망막전막도 관찰할 수 있고, 진행 상태도 정확히 알 수 있다. OCT검사는 황반구조 확인과 망막전막 진단에 필수적인 장비다. 망막과 황반의 해부학적 구조를 빠른 시간에 비침습적으로 검사할 수 있다. 최근 OCT검사 장비의 발달로 동공을 키우는 산동제를 넣지 않고도 검사가 가능해져 환자들의 불편이 크게 줄었다.
치료 약물 없고, 심해지면 수술로 제거
망막전막이 발견됐다고 해서 무조건 수술이 필요한 것은 아니다. 두껍지 않고 황반 침범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대부분 3~6개월마다 정기적인 경과관찰로 진행 정도만 파악한다. 망막전막을 제거할 수 있는 약물은 아직 없다. 정기적인 안저검사, OCT검사로 진행 상태를 확인하다가 시력저하 및 변시증이 심화될 경우에는 수술로 제거해야 한다.
유리체절제술, 망막전막제거술 시행
수술은 유리체절제술 및 망막전막제거술을 시행한다. 수술은 망막전막을 제거해 황반변형 진행을 막고 증상악화를 예방하는 것이다. 대부분의 환자는 노년성 백내장을 동반하고 있는 경우가 흔하고, 망막전막 수술 후 백내장이 빠르게 진행할 수 있어 수술 시 백내장 수술도 함께 시행하는 경우가 많다. 수술로 망막전막을 제거하면 당겨진 망막이 6개월~1년에 걸쳐 서서히 되돌려 진다. 하지만 심한 경우에는 정상 회복이 안 되고, 망막이 두꺼워진 상태로 남을 수 있다. 수술 후 어느 정도 시력회복을 기대할 수 있으나, 망막전막 발생 전의 시력으로는 돌아가기 어렵고, 변시증도 일부 남을 수 있다. 그렇다 보니 망막전막의 진행 여부 파악과 수술 여부 결정에 신중을 기해야 하며, 정기적인 안과 진료 및 경과 관찰이 무엇보다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