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천의병격문인 ‘격고팔도열읍’
독립기념관(관장 윤주경)과 국가보훈처는 독립운동가 안승우 선생을 2016년 6월의 독립운동가로 선정하고 6월 한 달간 독립기념관 야외 특별기획전시장에서 특별 전시회를 개최한다. 여기서는 제천의병이 점령했던 충주성 등 관련 사진 8점이 공개될 예정이다.
안승우 선생은 경기도 지평의 학자 집안에서 태어났다. 화서 이항로의 문인인 이근원과 유중교을 스승으로 모시고 가르침을 받았다. 특히 유중교를 처음 만난 자리에서 위정척사 사상에 대한 가르침을 듣고 잠을 이루지 못할 정도로 크게 감명을 받았다고 한다.
1896년 명성황후 시해와 단발령 공포를 계기로 이춘영, 김백선 등과 함께 지평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거의를 선포한 후 원주군청을 공격해 무기를 확보한 후 남쪽으로 이동해 제천을 점령했다.
제천으로 입성하자 동문수학했던 많은 인사들이 합류했다. 이에 따라 ‘격고팔도열읍’을 발포해 의병에 대한 지지를 호소하는 한편 화서학파의 정신적 구심체였던 유인석을 의병장으로 추대했다.
제천의병은 1896년 2월16일 충주성을 공격했다. 관군에 비해 전력은 뒤졌지만, 죽음을 각오한 의병들의 공격에 관군들이 달아났기 때문에 의외로 쉽게 점령할 수 있었다. 하지만 이후 일본군과 관군의 집요한 공격이 계속돼 3월4일 충주성을 포기하고 제천으로 돌아가기로 결정했다.
제천으로 이동하던 중 수안보 전투에서 중군장 이춘영이 순국함에 따라 안승우가 중군장이 됐다. 제천으로 돌아온 뒤 안승우는 의병모집과 군사훈련을 통해 의병부대의 전력 증강을 위해 노력했다. 그 결과 약 3개월 동안 관군 및 일본군과 크고 작은 전투를 벌여 상당한 전과를 거뒀다.
1896년 5월26일 선유사로 파견된 장기렴이 관군을 이끌고 제천을 공격해왔다. 안승우는 관군을 상대로 격전을 벌였지만, 전투 중 오른쪽 다리에 탄환을 맞고 붙잡히고 말았다. 붙잡힌 상황에서도 강개한 어조로 우국충정의 소신을 당당히 밝히다가, 32세의 나이로 순국했다.
안승우의 의병정신은 아들 안기영에게 이어졌다. 1907년 안기영이 이강년 의병부대의 종사(從事)가 돼 항일전에 참여하면서 3대가 항일의병에 투신한 가문이 됐다. 1962년 안승우가 건국훈장 독립장을 받았고, 1999년에 부친 안종응과 아들 안기영이 건국포장을 받았다.
<정리/이진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