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운영 의원
“살아있는 생명을 생매장하는 것도 문제지만 앞으로 닥쳐 올 침출수 문제는 더욱 심각한 상황이다. 토지와 지하수에 대한 오염, 2차 감염 노출 등 우리가 미처 생각하지 못했던 문제들이 야기될 수 있다. 이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더불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만들어야 한다.”
여운영 의원은 5분 발언을 통해 국가적 재난상황인 구제역에 대한 매뉴얼 개발, 집행부와 의회이 협의체 구성 등을 제안했다.
여 의원은 “충남만 해도 200여 건의 구제역 신고가 접수됐고, 이 중 170여 건이 양성으로 판정됐다. 전국에서 구제역으로 살처분 된 가축 수가 340만 마리에 달한다. 재앙이 아닐 수 없다”며 “이에 대한 충분한 고민과 더불어 문제해결의 실마리를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여 의원은 먼저 구제역으로 인한 무조건적인 살처분에 대한 문제를 언급하며 “지금까지 구제역 의심만으로 예비차원에서 살처분 한 것은 성급했다”고 주장했다.
여 의원은 “구제역 양성 판정을 받은 농가가 있으면, 주변 500미터 안의 모든 가축도 동시에 구제역 검사를 실시하고, 이상 없는 가축은 500m 밖으로 피신시킨 다음 철저한 방역과 예방을 했다면 멀쩡한 가축들까지 무차별적으로 살처분 하는 우를 줄일 수 있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정확한 판단과 발 빠른 대처, 그리고 구제역 예방 및 방역에 관한 매뉴얼을 만들어 앞으로 수백 만 마리의 가축을 살처분 하는 재앙이 다시는 되풀이되지 않기를 바란다”며 집행부와 의회의 협력 하에 ‘구제역으로 살처분한 지역에 대한 처리문제와 향후 발생할 문제들에 관해 협의하고 대책을 마련할 협의체’ 구성을 제안했다.
한편 여 의원은 구제역을 슬기롭게 극복한 축산선진국 견학을 추진하고 있다. 여 의원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작년에 구제역이 발생한 일본은 28만 마리의 가축만을 살처분 했고, 지하수가 오염됐다는 등 사후 피해에 대한 보고도 없었다고 설명했다. 특히 지난 2월1일~4일까지 실시된 OIE(국제수역사무국) 과학위원회에서 일본이 구제역 청정국 지위를 회복했다는 점을 들며, 아산시에 시사하는 바가 큰 만큼 관심을 가져 달라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