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최근 순천향대학교가 발표한 “아산지역 대기 중 중금속 오염농도 심각하다”는 자료가 ‘입증 안 된, 신뢰성 떨어지는 내용’이라고 환경부산하 한국환경산업기술연구원이 공식적으로 해명했다.
|
최근 방송, 신문, 인터넷 등 언론을 통해 순천향대학교(총장 손풍삼)가 발표한 “아산지역 대기중 중금속 오염농도 심각하다”는 자료가 ‘입증 안 된, 신뢰성 떨어지는 내용’이라고 환경부 산하기관인 한국환경산업기술연구원이 공식적으로 해명했다.
‘아산시 중금속 오염 심각한 거 맞나?’ 라며 <충남시사신문>에서 제기한 각종 의문점에 대한 답변을 지난 17일 한국환경산업기술연구원이 제공한 것.(9월13일, 9월16일 보도)
순천향대에서 발표한 2008년 아산과 서울시 대기 중 ㎥당 중금속 측정치를 보면 납은 아산지역이 10.25ng으로 서울 5.22ng에 비해 두 배 가량 높았다. 비소도 아산이 8.90ng으로 서울 5.85ng보다 매우 높았다.
또 2009년 측정치에서는 납은 아산이 0.14ng으로 광양 0.07ng보다 두 배나 높았다. 니켈과 구리도 아산이 0.49ng, 0.27ng으로 광양 0.18ng, 0.12ng보다 각각 두 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순천향대는 그 원인을 황사, 교통량 증가, 중소기업체 증가 등으로 설명했다. 또 이 영향으로 “중금속은 코와 후각을 통해 신체 안으로 들어와 상피세포와 혈관 또는 림프조직에 침투해 뼈골, 간, 신장, 비장, 심장 등과 같은 민감한 기관으로 이동해 뇌로 전이돼 정신질환까지 야기 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조사자료 대표성도 없고, 신뢰성도 낮다”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순천향대 캠퍼스에서 채집해 작성한 데이터는 아산지역의 연평균 농도라고 하기에는 대표성이 없다고 밝혔다.(순천향대에서 제공한 공기채집 장면) |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설명자료를 통해 “차세대사업으로 수행중인 ‘금속기반 단백체 기술을 바탕으로 공기 중 나노입자 내 중금속 위해성에 대한 분자수준의 생물지표 개발’ 연구의 목적은 대기 중 나노 입자에 존재하는 중금속의 위해성 평가를 위한 금속기반 단백체 기술 확립과 분자수준의 생물지표 개발”이라고 밝혔다.
반면 “순천향대에서 발표한 보도자료 내용에서는 아산지역 대기 중 중금속 오염도 조사를 위한 연구인 것처럼 보도돼 연구 목적과 부합되지 않고 조사결과의 신뢰성도 낮다”고 밝혔다.
또 자료에서 제시된 데이터는 아산지역의 연평균 농도라고 하기에는 대표성이 없다고 밝혔다. 그 이유는 순천향대 캠퍼스의 특정지점에서 측정된 자료가 아산지역 대기오염상태를 대표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특히 측정된 지점도 근거리 주변의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점과 단순히 장치설치가 용이한 조건 지점을 선정해 측정된 점 등은 측정 장소의 대표성이 떨어진다고 부연 설명했다.
측정 시기도 2008년 아산-서울지역, 2009년 아산-광양지역에서 56nm이하 나노입자의 측정횟수 5회(8, 9, 10, 11, 12월)에 불과하고, 측정분석데이터에서도 3~4회(2008년 10, 11, 12월, 2009년 8, 9, 10, 11월) 평균농도만을 제시해 측정기간과 주기의 대표성이 떨어진다고 밝혔다.
대기오염 심각성 판단할 상관관계 규명안돼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의 한 관계자는 “순천향대의 연구내용이 대기 중 나노입자 중금속 농도를 측정하는 것인데, 보도자료에 제시된 내용은 아산지역의 대기 중 중금속 농도를 나타내는 것처럼 표현됐다”며 “대기 중 나노물질의 중금속 농도와 대기 중 중금속 농도간의 상관관계가 규명된 바 없어 이 둘의 관계로부터 대기오염의 심각성을 판단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순천향대에서 측정된 납의 농도를 대기환경기준치인 1500ng/㎥와 비교해도 대기 중 나노입자 중금속 검출농도 10.25ng/㎥(2008년), 0.14ng/㎥(2009년)로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났다.
결국 ▶“아산지역 대기중 중금속 오염농도 심각하다” ▶“아산지역이 시민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준의 독성 중금속이 다량 검출돼 대기중 오염도가 상당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광양지역과 서울지역보다도 비슷하거나 더 높은 농도로서 아산지역 주민들의 건강을 위협할 수 있다” 등에 대해 한국환경산업기술원은 “순천향대 발표 자료는 현재 대기 중 나노입자와 나노입자 내 중금속 농도에 따른 위해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과학적 입증 자료가 없으므로, 대기 나노입자의 건강영향 여부를 속단할 수 없다”고 결론지었다.
순천향대 연구팀은 2008년~2011년까지 환경부 지원으로 ‘차세대 핵심 환경기술개발사업 프로젝트’를 수행중인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