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산시의회 이기원 의원이 ‘아산·천안 통합반대 결의문’을 낭독하고 있다. |
아산시의회(의장 김준배)가 아산·천안 통합론에 대한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아산시의회는 7월7일(화) 아산시의회 본회의장에서 이기원 의원을 비롯한 13명이 공동 제출한 ‘아산·천안 행정구역 통합 반대 결의문’을 채택하고, 이기원 의원의 결의문 낭독으로 아산시의회의 입장을 밝혔다.
아산시의회는 결의문을 통해 “최근 정부와 정치권의 지방행정체제 개편 논의에 국민들의 관심이 쏠리면서 일부정치인과 언론이 아산·천안 통합론의 당위성을 주장하고 있다”며 “이는 아산시의 정체성과 역사성을 부인하고 여론 형성을 통한 통합을 이끌어 내고자하는 저의가 숨겨진 것으로 밖에 볼 수 없다”고 해석했다.
또 “이에 대해 아산시의회 의원일동은 심각한 우려를 표명하면서, 정부와 정치인, 그리고 언론에서 이와 같은 특성과 지역정서를 무시하고 일방적으로 아산·천안 통합론을 제기해서는 안 된다는 것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고 밝혔다.
이어 “최근 대두되고 있는 통합론은 아산·천안간의 역사, 문화, 경제, 교육 등 지역성에 대한 검토와 논의 없이 시군통합을 이끌어 내고자 하는 일방적 시도”라며 “이러한 일련의 발표들은 오랜 세월동안 고착된 두 자치단체의 정체성을 무시하고 통합론을 정당화하자는 것으로 이는 아산시민의 자긍심과 지역사랑의 정신을 짓밟는 것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우리 의원일동은 이를 절대 받아들일 수 없으며, 통합에 반대하는 아산지역의 정서를 감안할 때 시민공감대가 없는 통합제기는 양도시의 갈등과 소모적 논쟁만이 양산될 뿐이라는 점을 분명히 하고자 한다”고 덧붙였다.
아산시의회는 “아산과 천안은 통합이 아닌 각자의 역사와 전통의 도시로, 각자 도시의 자존심을 살리는 상생과 협력을 통해 정체성을 가지고 독자적으로 발전할 수 있는 길로 가야한다는 것이 우리의 입장임을 분명히 밝힌다”며 “정부와 정치권, 그리고 언론에서 아산시민의 정서에 반하는 일방적 정책에 대한 홍보 등으로 주민의 갈등과 분열을 조장한다면, 아산시의회는 26만 시민과 함께 그에 대해 응분의 책임을 물을 것이며 강력히 대응 해 나갈 것”이라고 천명했다.
“누구를 위한 통합인가”
"아산시와 천안시 통합론은 무엇을 위한 것이며, 누구를 위한 것인가 목적이 불분명하다."
지난해 총선에서는 천안을 선거구 박완주(민주당) 국회의원 후보가 자신의 선거구 주민 80.5%가 천안아산 통합에 찬성한다는 여론조사를 발표해 아산시의회에서 “이웃의 의사와는 관계없이 살림을 합치자는 것과 같다”며 반박성명을 발표한바 있다.
또 당시 아산지역 총선에 출마한 이명수(자유선진당), 강훈식(민주당) 후보 등은 강한 반대 입장을 밝히기도 했다.
또 지난 5월 아산시정연구원(원장 이교식)은 아산시민들이 지방행정체제 개편에 78.1%가 찬성하고, 기초단체의 통합을 가정할 때 69.4%가 천안과의 통합을 원한다는 여론조사를 발표했다. 이에 대해 일각에서는 내년 시장출마를 꿈꾸는 정치인의 ‘이슈 만들기에 불과하다’는 반응과 보다 적극적인 논의가 필요하다는 논의가 교차했다.
아산시민모임 김지훈 사무국장은 “시민의 의사가 배제된 일부 정치인이나 기득권 중심의 통합논의는 바람직하지 못하다”며 “정치적 목적이나, 단순 행정편의적인 통합논의는 오히려 지역발전을 저해할 수도 있다”고 말했다.
아산시의회가 7월7일 본회의장에서 채택한 결의문에 대해서도 얼마든지 검토나 논의가 가능한 사안인데도 불구하고, 지나치게 민감하고 경직된 반응을 보인 것 아니냐는 반응도 있다.
천안·아산 경실련 전병인 간사는 “현재 논의되고 있는 광역행정체계의 개편은 곧 권력의 중앙 집중 강화를 의미하는데, 충분한 사회적 논의가 필요한 부분”이라며 “정치적 목적과 성과물을 얻기 위해 지역정서를 무시한 채 오랜 세월동안 형성된 지역사회공동체를 인위적으로 통합하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한편 6월30일 현재 아산시 인구는 25만7099명이며, 2009년 아산시 예산은 6666억원(일반회계 4778억원, 특별회계 1190억원) 규모다. 천안시 인구는 동남구 23만8962명, 서북구 30만7896명으로 총 54만6858명이 등록돼 있다. 2009년 천안시 예산은 1조700억원(일반회계 6330억원, 특별회계 4370억원) 규모다.
두 도시는 행정구역이 교차하는 아산신도시를 중심으로 25만명을 수용할 수 있는 거대한 생활권이 새롭게 형성되고 있다.
<이정구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