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태흠 충남도지사가 대통령제 폐기를 골자로 한 개헌과 행정통합을 통해 ‘국가 대전환’을 이뤄내자고 제안했다.
도는 1일 도청 문예회관 대강당에서 김 지사와 보훈단체 관계자, 주민 등 10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제106주년 3·1절 기념식을 개최했다. 이날 기념식은 식전 공연, 독립선언서 낭독, 만세삼창 등의 순으로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김 지사는 기념사를 통해 조국을 위해 희생한 순국선열에 대한 경의를 표하고, 독립유공자와 유가족에게 존경과 감사의 뜻을 전했다.
이어 “지금 우리사회는 해방 이후 찬탁, 반탁으로 싸울 때보다 더 극심한 진영논리로 갈라져 있는 상황”이라며 “정치인의 한 사람으로서 지금의 현실이 참담하고 송구스러울 뿐”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현재와 같은 구조 속에서는 서로 승복하지 않고, 갈등과 분열이 더 심해지지 않을까 걱정된다”며 “나라의 앞날을 위해 하루빨리 정치를 복원하고 시대적 흐름에 맞는 개헌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지사는 권력이 한 사람에게 집중된 제왕적 대통령제를 폐기해야 한다는 점을 강조했다. 승자독식의 권력구조는 내각제나 이원집정부제로 개편하고, 중앙에 집중된 권한을 지방으로 이양해 국가균형발전과 성장의 기회로 만들어 내야 한다고 했다.
그러기 위해서는 “정치권은 당장 머리를 맞대고 새로운 체제로 전환하는 개헌 로드맵을 국민 앞에 제시해야 한다”고 촉구하며 “도민 여러분께서 상향식 개헌의 물꼬를 터 주시기 바란다”고 말했다.
국가 대전환을 향한 또 하나의 길로 ‘행정통합’도 제시했다.
김 지사는 지금의 17개 시·도 행정체제는 수명을 다했다며 “수도권 일극체제 극복을 위해선 서울, 경기, 충청, 전라, 대구경북, 부울경 등 전국을 대여섯개 권역으로 묶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도와 대전시가 추진중인 행정통합은 그 마중물이 될 것이라며 “대전충남 특별시는 인구 360만으로 전국3위, 경제력은 190조원으로 유럽의 신흥 산업국가들과 맞먹는 수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대전충남 행정통합을 발판으로 충청권 메가시티 구축에도 속도를 내겠다는 뜻도 내놨다.
김 지사는 끝으로 “106년 전 우리 선조들은 어둡고 암울한 식민지 현실에서도 민주공화국의 여명을 밝혔다”며 “이제 개헌과 통합으로 국가 대전환의 길을 열어 나아가고, 충남이 대한민국의 미래를 새로운 희망으로 열어가자”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