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안시 인구가 70만을 향해 달려가고 있다.
매년 1만명에서 1만5000명까지 증가했던 천안은 최근 주춤했다. 이는 전국적인 인구감소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도시성장세에 있던 천안시에도 영향을 받게 된 것. 이로 인해 2021년에는 전년 대비 처음으로 300여명이 감소한 68만5246명으로 소폭 감소하기까지 했다. 이후 2022년 68만7575명, 2023년 69만80명으로 2000여 명씩 증가했다가 지난해에는 7219명이 증가했다.
지난해 인구가 크게 늘어난 것은 2024년 1월 한양수자인 에코시티 아파트가 풍세에 들어서면서 1년만에 풍세인구 6000명이 증가했기 때문이다.
이로써 천안시는 지난해 12월 말 기준 외국인을 포함한 총인구수는 69만7299명이 됐다. 이같은 증가추세로 볼 때 천안은 올해 안에 70만명을 넘길 예정이다. 빠르면 상반기에 달성도 가능해졌다.
시민 1562명이 말하는 인구정책은?
천안시는 인구증가 요인으로 산업단지 조성, 기업유치, 청년일자리 확대 등으로 내다봤다.
외국인근로자의 산업단지 및 서비스업 분야 취업이 증가하고, 지역 12개 대학의 유학생, 장기거주자의 정착도 인구증가 요인으로 꼽았다.
천안시는 정주인구 70만명 조기달성과 생활인구 200만명을 목표로 천안형 인구정책을 추진할 계획이다.
시는 지난해 시민 1562명을 대상으로 청년·출산·양육·고령화 등 7개 분야에 대한 인구정책 수요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조사 결과 시민들이 뽑은 가장 중요한 인구정책분야는 ‘임신과 출산 지원(41.9%)’이었다. 이어 아동보육 및 양육지원(34.3%), 청년 지원(31.9%), 결혼장려 및 신혼부부 지원(30.9%), 고령화시대 대응정책(30.5%) 순이었다.
청년분야 정책으로는 청년주거 관련비용 지원(54.1%)이 꼽혔다. 청년취업 지원(45.1%), 청년일자리 조건개선(41.7%), 청년 교육·직업훈련 역량강화(35.8%). 청년 문화·여가 지원(23.3%) 등이 뒤를 이었다.
결혼장려 및 신혼부부 분야에서는 신혼부부 주거 관련비용 지원(78.6%), 신혼부부 주거환경 개선(59.3%)이 높은 관심을 받았으며 임신과 출산 분야에선 출산 후 건강관리(52.7%), 출산 전 건강관리(44.2%)가 순위권에 올랐다.
아동보육 및 양육 분야에서는 다함께 돌봄센터 및 방과후 교육확대(50.4%), 아이돌봄서비스 확대(48.9%) 등이 제시됐으며 고령화시대 대응분야에서는 중장년·고령자 일자리 늘리기(59.3%), 고령자 돌봄체계와 의료·건강 관리(58.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도시경쟁력 강화 분야에서는 교육·의료 등 서비스기능 강화(54.7%), 문화·관광·예술 등 즐길거리 늘리기(48.3%) 등이 필요하다고 답했다.
시는 이달 중으로 천안시 인구정책자문위원회를 개최해 시민의 목소리를 담은 천안형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확정할 예정이다. 또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공감 인식 확산을 위해 지난해 초중고 학생을 대상으로 추진했던 인구교육을 일반시민까지로 대상을 확대할 계획이다.
박상돈 시장은 “설문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시민인식과 사회변화상을 반영한 천안형 인구정책 시행계획을 수립하고 정책발굴 등에 더욱 힘쓰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