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염증성 장질환’, 정확한 감별과 치료

등록일 2020년08월29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윤홍진 교수/순천향대천안병원 소화기내과

염증성 장질환이란 장 내에 비정상적인 만성 염증과 궤양이 호전과 재발을 반복하는 질환이다. 궤양성 대장염과 크론병이 대표적이며, 아직 명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스트레스나 약물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유전적 요인과 함께 장 내에 정상적으로 존재하는 세균에 대한 우리 몸의 과도한 면역반응 등이 중요한 발병 요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심평원 최근 자료에 따르면 국내 궤양성 대장염 환자는 약 4만4000명, 크론병 환자는 약 2만2000명이다. 과거에는 서양에서 흔하고, 국내에서는 상대적으로 드문 질병이었지만 발병률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설사, 복통 등 계속되면?

환자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일반적으로 설사, 복통, 식욕감소, 혈변, 체중감소 등의 증상이 나타난다. 이 증상들이 6개월 이상 만성적으로 지속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복통, 설사 등이 잦다고 해서 다 염증성 장질환은 아니다. 증상이 겹치는 장 질환이 많아 대장질환 전문의 진료를 통해 정확한 감별 후 적극적으로 치료받아야 한다.
가장 흔한 과민성 장증후군은 장 기능장애로 설사, 변비, 복통 등이 나타나는데 염증이나 장의 기질적인 변화에 의한 염증성 장질환과는 전혀 다른 질환이다. 세균, 바이러스에 의한 일반적인 장염은 일시적인 염증이다. 항생제 치료 또는 증상 조절만 하면 금방 호전돼 염증성 장질환처럼 평생관리 해야 하는 병은 아니다. 그 외에도 장결핵, 허혈성 대장염, 혈관염, 진통제 사용에 따른 장의 염증 등도 증상이 비슷한 질환이다.

진단 쉽지 않아

아직 염증성 장질환을 정확히 진단해내는 검사법은 없기 때문에 진단 자체도 간단하지 않다. 증상, 내시경 및 조직병리 소견, 혈액검사 소견, 영상검사 소견 등을 종합해 진단하게 된다. 가장 기본적인 검사는 대장내시경이다. 다른 장 질환과의 감별, 병변 부위 평가, 중증도 평가, 치료에 대한 반응 평가, 합병증 및 염증성 장질환 환자에서 발병위험이 높은 대장암의 조기 진단에도 도움이 된다. 그 외 혈액검사 및 대변검사, 그리고 CT, MRI, 소장 조영술 등 영상의학 검사, 캡슐내시경이나 풍선보조 소장내시경검사도 진단에 사용된다. 하지만 이 검사들을 통해서도 확실한 진단까지는 1년 이상이 소요되는 경우가 있을 만큼 진단이 어렵다.

진단 늦으면 장 천공, 대장암 위험증가

만약 병원을 찾는 시기가 늦어지거나 정확한 진단이 되지 못 한 채 증상이 악화 된다면 장폐쇄, 천공, 대장암, 치루 등의 합병증이 발생할 확률이 올라가게 된다. 출혈, 누공, 천공, 농양, 장폐쇄 등의 합병증으로 응급상황이 발생해 개복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다. 염증성 장질환의 경우 만성적인 재발성 질환이다. 증상이 호전됐다고 임의대로 치료 및 진료를 중단하면 대부분의 경우 재발하고 합병증의 위험도 더욱 증가한다.

완치제 없어 약물치료로 평생 관리해야

염증성 장질환은 증상이 악화되는 활동기와 증상이 소실되는 관해기가 반복되는 만성 질환이다. 아직 완치 가능한 치료제가 없기 때문에 약물치료를 통해 증상이 소실되는 관해를 달성하고, 이 관해기를 최대한 길게 유지하는 것이 치료의 목표다. 고혈압과 당뇨병처럼 평생 관리하면서 증상을 조절하고 합병증 예방과 삶의 질 향상을 목표로 약물치료를 지속해야 된다. 중증도, 범위, 합병증 유무 등에 따라 항생제, 5-아미노살리실산, 면역 조절제, 스테로이드 등을 적절하게 조합해 사용하게 된다. 최근에 여러 생물학적 제제 (면역억제제)가 개발되어 사용 중이며 관해유도와 관해유지에 있어서 좋은 성과를 보이고 있다. 약물치료는 일부 환자에서 구역질, 속쓰림, 두통, 어지러움, 빈혈, 피부발진 등의 부작용을 일으킬 수 있다, 드물게는 간염, 췌장염, 폐렴, 백혈구 저하 등의 부작용이 나타나기도 한다.

감염질환 합병 차단위해 예방접종도 필요

염증성 장질환의 조절을 위해 면역억제제를 사용하게 되면 특정 감염질환이 발생할 위험이 증가하게 된다. 따라서 A형 및 B형 간염, 수두, 인플루엔자, 폐렴구균, 대상포진 등에 대한 예방접종도 필요하다.

윤홍진 교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