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너 닫기
뉴스등록
맨위로

‘노인 고혈압’ 치료하면 뇌졸중, 심장발작 줄어든다

등록일 2019년12월02일 트위터로 보내기 싸이월드 공감 네이버 밴드 공유

이세환 교수/순천향대병원 심장내과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65세 이상 고령자가 전체인구의 14.3%를 차지하고 있는 고령사회로 2026년에는 초고령사회가 될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이에 따라 노인에서 흔하게 나타나는 고혈압에 적극 대처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어느 때 보다 높다. 하지만 고혈압을 자연스러운 노화현상으로 인식하고, 방치하는 경우가 적지 않다. 아직도 노인 고혈압 환자 중 적절히 조절되는 경우는 50% 정도로 낮은 편이다.

혈관탄력 낮아지고 혈류속도 빨라지고

노인 고혈압 환자의 50% 이상이 수축기 고혈압이다. 수축기 고혈압은 수축기혈압 ≥140㎜Hg 이상, 확장기 혈압 <90㎜Hg 미만일 때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들면 수축기혈압(심장 수축기의 높은 혈압)은 점진적으로 증가하는 반면, 이완기혈압(심장 확장기의 낮은 혈압)은 60세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에는 감소한다. 이는 나이가 들면서 동맥벽의 탄력성이 낮아지고 강직성이 높아져 혈류 전달 속도가 빨라지기 때문이다. 즉, 수축기 고혈압과 맥압(수축기‧이완기혈압 간 차이)의 증가가 노인 고혈압의 특징이다.

치료해야 심뇌혈관질환 위험 낮춘다

심뇌혈관질환은 노년층에서 가장 빈번하게 나타나는 질환이며, 주요 사망원인으로도 손꼽힌다. 노인 고혈압의 치료는 심뇌혈관질환의 발생률과 사망률을 줄인다는 것이 여러 연구에서 밝혀졌다. 또한 뇌졸중, 심장발작, 심부전의 발생률 감소를 위한 고혈압 치료는 수축기 고혈압 환자에게도 효과적인 것이 입증됐다.

항고혈압제 치료는 노인에게 더욱 효과적이다. 고혈압을 치료하지 않아 발생하는 합병증의 위험도는 젊은 층보다 노년층에서 더 높다. 그 예로 1건의 뇌졸중을 예방하기 위하여 98명의 젊은 고혈압 환자를 치료해야 하지만, 노인 고혈압 환자는 단지 39명이 필요하다는 연구결과가 있다. 이와 비슷하게 1건의 관상동맥질환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서는 젊은 환자 187명을 치료해야 하는 반면 노인환자는 단지 77명의 환자 치료가 필요하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140/90㎜Hg 미만으로

노인 고혈압 환자의 목표혈압은 젊은 층과 마찬가지로 140/90㎜Hg 미만이다. 하지만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할 만큼 혈압을 낮추는 것은 안전하지 않을 수 있다. 되도록 이완기혈압이 60㎜Hg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게 조절해야 한다. 특히 80세 이상의 초고령자나 쇠약한 노인은 수축기혈압의 목표를 약 150㎜Hg로 다소 높게 권한다.

노인이 처음 약을 복용하는 경우 일반 성인의 절반 용량으로 시작하는 것이 좋다. 목표혈압에 도달할 때까지 합병증 발생 여부를 관찰하면서 서서히 증량하는 것이 안전하다.

항고혈압제 장기복용해도 안전
 
약물치료를 권유 받은 노년층에서 운동, 대체요법, 민간요법을 찾는 경우가 흔하다. 물론 지속적이고 적절한 운동 및 식습관은 약물효과를 높이지만 약물치료보다 효과적으로 혈압을 낮추는 방법은 없다. 민간요법 등은 치료를 방해하거나 합병증을 배가시킬 수 있어 주의해야 한다. 건강한 식생활 습관과 함께 규칙적으로 약을 복용하는 것이 원칙이다.

항고혈압제를 장기간 복용하면 위나 콩팥이 나빠진다는 막연한 오해를 갖는 경우를 자주 본다. 물론 노인 고혈압 치료 시 기립성 저혈압이나 기저질환의 악화가 나타날 수 있지만 이는 극히 드물다. 대부분의 부작용은 초기에 발견되므로 장기복용에 따른 부작용 우려는 불필요하다.

노인 고혈압은 흔하지만 나이가 들면서 나타나는 정상적인 현상은 아니다. 앞으로 노인 고혈압 환자는 더욱 증가할 것이고, 고혈압이 잘 조절되지 않아 합병증과 사망위험이 높아지면 개인의 불행은 물론 사회적인 의료비 부담도 커질 것이다. 노인 고혈압이 제때 진단되고 적절히 관리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기 위해서 환자, 가족, 의사, 사회 모두 노력해야 한다.

이세환 교수 기자 이기자의 다른뉴스
관련뉴스 - 관련뉴스가 없습니다.
유료기사 결제하기 무통장 입금자명 입금예정일자
입금할 금액은 입니다. (입금하실 입금자명 + 입금예정일자를 입력하세요)

가장 많이 본 뉴스

종합 뉴스 라이프 우리동네 향토